[Why+]이영필 잘만테크 대표, 지분은 되찾았지만 떨어진 신뢰는 어찌하나…
입력
수정
경영권 매각 과정 중 사기를 당했다고 주장한 바 있는 이영필 잘만테크 대표가 다시 비교적 안정적 지분을 확보했다. 유상증자와 장내매수 등을 통해 지분율이 20%를 넘어섰다. 사라진 지분은 다시 채워 넣었지만, 시장의 신뢰를 확보하려면 가시적인 성과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잘만테크는 22일 현물출자 방식의 유상증자를 법원이 인가함에 따라 이 대표가 회사 주식 175만6756주를 추가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그는 기존 주식을 합해 총 263만230주(20.31%)를 보유하게 될 예정이다. 잘만테크는 지난 4월 이 대표를 상대로 한 26억원 규모의 제 3자배정 방식 유상증자를 결의했다. 이 유상증자는 이 대표가 회사를 상대로 대여한 차입금 채권을 현물출자 하는 형태여서 법원의 인가가 필요했다. 지난 17일 법원 인가가 떨어지면서 내달 중순 이 신주가 상장될 예정이다.
이 대표는 지난 3월 경영권 양수도 계약을 체결했으나 계약금 45억원만 받은 뒤 지분을 모두 양수인 측에 빼앗겼다고 주장했었다. 에스크로(결제대금예치)한 지분과 잔금이 이 대표 동의 없이 무단 인출된 것.
이에 따라 이 대표는 다시 지분을 되찾으려 했으나 이미 대부분이 장내에서 매각된 것으로 판단, 분실신고를 하지 않았다. 대신 증자와 장내매수로 지분을 확대하는 방식을 택했다.이 대표는 이번 경영권 매각으로 인해 막대한 손실이 발생했다고 밝혔지만, 사실 그가 실질적으로 본 손해는 크지 않아 보인다. 지분을 다시 늘리는 과정에서 들인 자금이 30억원이 채 안 되는 것으로 추정되서다. 이에 비해 계약금으로 받은 돈은 45억원에 달한다. 오히려 남는 장사를 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물론 소송 진행 비용과 기회비용, 일련의 사태 이후 주가 하락, 심리적 충격 등은 이 대표가 추가적으로 감당해야 하는 부분이다. 하지만 그가 받은 타격이 비하면 다른 주주들의 피해는 훨씬 막대하다 할 수 있다.
작년 3월 1000억원에 육박했던 잘만테크의 시가총액은 경영권 매각계약 직전인 3월초 200억원대까지 쪼그라들었고, 최근에는 150억원에도 못미치고 있다. 업황 악화도 있었지만 경영권 매각을 염두하고 있어 사실상 회사 경영을 크게 신경쓰지 못 한 것도 실적악화와 주가하락의 빌미가 됐다. 그는 최근 <한경닷컴>과의 인터뷰에서 "명예를 걸고 경영 정상화를 이루겠다"고 말했다. 떨어진 주가 만큼이나 바닥까지 내려앉은 시장 신뢰가 회복될 지 지켜볼 일이다.
한경닷컴 안재광 기자
잘만테크는 22일 현물출자 방식의 유상증자를 법원이 인가함에 따라 이 대표가 회사 주식 175만6756주를 추가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그는 기존 주식을 합해 총 263만230주(20.31%)를 보유하게 될 예정이다. 잘만테크는 지난 4월 이 대표를 상대로 한 26억원 규모의 제 3자배정 방식 유상증자를 결의했다. 이 유상증자는 이 대표가 회사를 상대로 대여한 차입금 채권을 현물출자 하는 형태여서 법원의 인가가 필요했다. 지난 17일 법원 인가가 떨어지면서 내달 중순 이 신주가 상장될 예정이다.
이 대표는 지난 3월 경영권 양수도 계약을 체결했으나 계약금 45억원만 받은 뒤 지분을 모두 양수인 측에 빼앗겼다고 주장했었다. 에스크로(결제대금예치)한 지분과 잔금이 이 대표 동의 없이 무단 인출된 것.
이에 따라 이 대표는 다시 지분을 되찾으려 했으나 이미 대부분이 장내에서 매각된 것으로 판단, 분실신고를 하지 않았다. 대신 증자와 장내매수로 지분을 확대하는 방식을 택했다.이 대표는 이번 경영권 매각으로 인해 막대한 손실이 발생했다고 밝혔지만, 사실 그가 실질적으로 본 손해는 크지 않아 보인다. 지분을 다시 늘리는 과정에서 들인 자금이 30억원이 채 안 되는 것으로 추정되서다. 이에 비해 계약금으로 받은 돈은 45억원에 달한다. 오히려 남는 장사를 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물론 소송 진행 비용과 기회비용, 일련의 사태 이후 주가 하락, 심리적 충격 등은 이 대표가 추가적으로 감당해야 하는 부분이다. 하지만 그가 받은 타격이 비하면 다른 주주들의 피해는 훨씬 막대하다 할 수 있다.
작년 3월 1000억원에 육박했던 잘만테크의 시가총액은 경영권 매각계약 직전인 3월초 200억원대까지 쪼그라들었고, 최근에는 150억원에도 못미치고 있다. 업황 악화도 있었지만 경영권 매각을 염두하고 있어 사실상 회사 경영을 크게 신경쓰지 못 한 것도 실적악화와 주가하락의 빌미가 됐다. 그는 최근 <한경닷컴>과의 인터뷰에서 "명예를 걸고 경영 정상화를 이루겠다"고 말했다. 떨어진 주가 만큼이나 바닥까지 내려앉은 시장 신뢰가 회복될 지 지켜볼 일이다.
한경닷컴 안재광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