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지펀드 도입 긴급 좌담회①]"종합IB 지정 10곳도 가능하다"

- 종합 IB, 합병 없이 10개도 가능
- 입법예고 기간, 최대한 의견수렴해 반영할 것
- 운용인력 자격 가이드라인 탄력적 적용

"종합 투자은행(IB)이 되기 위한 최저 자기자본 3조원은 그렇게 높은 '규제 허들'이 아니에요. 예를들어 부채가 아닌 자본으로 잡히는 후순위채권을 발행하는 등 적극적으로 뛰어들면 1조원대 증권사들도 종합 IB로 거듭날 수도 있는 것이죠."(권대영 금융위원회 자본시장국 과장)이르면 9월께 '한국형 헤지펀드'가 도입될 예정이다. 이에 발맞춰 '1차 연관산업(유동성 공급자)'인 프라임 브로커(Prime Broker)에 대한 업무 규정도 발빠르게 준비되고 있다. 우선 IB로 지정되기 위한 최저 자기자본은 3조원 선이 될 것으로 보인다. IB는 프라임 브로커의 대표 업무인 대차업무와 신탁업무 등을 동시에 서비스할 수 있어 '미래의 먹거리'로 여겨지고 있다.

◆부채 아닌 자기자본으로 잡히는 '후순위채권'

한국경제신문의 온라인뉴스미디어 <한경닷컴>은 21일 한국경제신문사빌딩 10층 한경닷컴 본사에서 권대영 금융위원회 자본시장국 과장, 강창주 하나UBS자산운용 마케팅 본부장(상무), 김성하 미래에셋증권 전략기획본부 이사 등 헤지펀드 최고 전문가 3인을 초청해 '헤지펀드 도입 긴급 좌담회'를 열었다. 권 과장은 이 자리에서 "시장에 알려진 대로 헤지펀드 종합서비스(대차, 신탁 등) 업무자인 프라임 브로커를 할 수 있는 IB의 최저 자기자본이 3조원 선이라고 해도 결코 높은 규제라고 단정짓기 어렵다"며 "즉, 자기자본 2조원대의 대형 증권사 5곳(대우증권, 삼성증권, 현대증권, 우리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만을 위한 IB 지정 규정으로 받아들일 필요가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들 '빅5'는 한 해 벌어들인 이익이나 잉여금만 사용해도 손쉽게 IB로 지정될 수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그렇지만 다른 곳들도 후순위채권 발행과 유상증자 시도 등으로 얼마든지 IB업무를 맡아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자기자본이 2조원을 밑도는 곳들 역시 합병이라는 복잡한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자력으로 IB로 지정될 수 있다는 얘기다. 여기서 특히 적극 고려해볼만한 방법이 바로 후순위채권 발행이라는 설명이다. 후순위채권은 수천억원을 발행하더라도 부채로 인식되지 않고, 자기자본으로 계산된다. 많은 기업들이 자기자본비율을 유지하거나 이를 높이기 위해 이 채권을 선택하는 이유다.만일 자기자본 1~2조원대를 기록중인 곳들까지 IB업무를 맡기 위해 후순위채권 발행, 이익잉여금 이전, 유상증자 등의 방법을 적극 모색할 경우 '빅5' 외에도 신한금융투자, 미래에셋증권, 대신증권, 하나대투증권, 동양종금증권 등 10대 증권사들까지 IB로 지정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 따르면 IB 지정을 위한 최저 자기자본 기준인 3조원은 오는 28일 열리는 '투자은행 활성화를 위한 공청회'를 거쳐 '바텀업(Bottom-up)' 방식으로 다양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한 뒤 3분기에 결론이 날 예정이다.

◆"헤지펀드도 IB도 자기자본 등이 커야 안정적"한국형 헤지펀드의 도입 초기에는 IB와 헤지펀드 모두 '규모의 경제' 논리에 맡겨두는 게 안정적일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잇단 투자실패에 부딪쳐도 빠르게 재정비할 수 있는 대형 IB가 시장을 이끌어줘야 부작용이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본래 '법 밖'의 헤지펀드를 '법 안'으로 들여온 것이 한국형 헤지펀드인 만큼 금융당국의 본래 취지대로 다소 보수적인 시각으로 연관산업의 안착을 유도할 필요도 있다는 지적이 많았다.

강창주 상무는 "여지껏 헤지펀드 산업의 불모지였던 국내의 경우, 도입초 여러가지 혼란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적당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며 "그렇게 하지 않을 경우 소규모 헤지펀드가 우후죽순으로 생겨나 자칫 '머니게임'으로 변질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대형 헤지펀드와 IB들이 일반적으로 규모가 작은 곳들보다 펀드 판매 이후 리스크 관리 등에서 이점이 많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어느정도 시장이 형성된 이후부터는 미국, 유럽 등의 헤지펀드 선진국처럼 '적자생존의 법칙'이 자연스럽게 적용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헤지펀드 인가단위 빼면 개정안 아직 확정된 것 없어

한국형 헤지펀드의 도입을 위한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안이 입법예고됐지만, 아직까지 헤지펀드 설립을 위한 별도의 인가단위(최저 자기자본 60억원)를 빼면 개정안 중 확정된 것은 없다는 게 금융당국의 설명이다.

권 과장은 "개정안이 지난 20일 입법예고됐지만, 실제 도입 직전까지도 증권업계, 자산운용업계, 자문업계를 비롯해 학계의 지적까지 계속 의견을 모아 미비점들을 보완해 나갈 예정"이라며 "헤지펀드의 최저 자기자본 기준을 제외한 나머지 개정안들은 일부 변경될 수도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거액 자산가들이 아닌 '봉급생활자'인 일반투자자들이 기대하고 있는 재간접 헤지펀드(펀드 오브 헤지펀드)의 최소가입금액은 1~2억원 사이로 결정(3분기 내)될 예정이다. 올들어 재간접 헤지펀드를 직접 판매 중인 곳들의 1인당 최소 가입금액이 평균 약 5000만원 선인 것을 감안하면 1억원 선이 유력해 보인다.

최소 가입금액과 동시에 투자자 교육도 꼭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김성하 이사는 "일부 투자자들은 소위 '대박 투자상품'으로 헤지펀드를 단순화시키고 있는데 정확한 상품 설명이 필수적"이라며 "헤지펀드는 '저위험 고수익'이 아닌 '중위험 중수익' 정도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인가조건인 '3인 이상'의 전문인력 자격 기준은 제도권과 비제도권 구분없이 유연하게 적용될 예정이다. 국내외에서 헤지펀드의 운용전략을 직접 해본 인력들이라면 모두 무리없이 금융위의 인가조건을 통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헤지펀드 도입 이후 전문인력의 양성은 금융투자협회가 주도적으로 관련 교육과정을 마련할 예정으로 전해졌다.

사회=한경닷컴 온라인뉴스국 변관열 증권팀장/정리=정현영 기자
사진=한경닷컴 변성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