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종합 대책 윤곽] "가계부채 관리 가능한 수준…우려 지나쳐"
입력
수정
금융자산 많고 고소득층 비중 커가계부채에 대한 우려가 실제 이상으로 부풀려지고 있다는 우려도 있다. 가계부채 규모가 크고 증가 속도가 빠른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은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는 것이다.
이런 분석의 주된 근거는 '금융부채 대비 금융자산 배율'이다.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자금순환표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개인 부문의 금융부채 대비 금융자산 배율은 2.33배로 1년 전의 2.3배보다 약간 높아졌다. 이 배율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8년 말 2.1배까지 하락했으나 이후 상승해 2009년부터 2.3배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부채 대비 자산이 늘었다는 것은 부채 상환능력이 그만큼 좋아졌다는 것을 뜻한다.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악화된 것과 달리 부채 대비 자산 비율이 개선된 것은 소득이 없으면서도 거액의 자산을 보유한 가구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가계부채 규모를 판단할 때는 금융자산은 물론 부동산 등 실물자산까지 고려해야 한다"며 "집값이 급락하지 않는 한 가계부채가 경제에 충격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고소득층에 부채가 집중돼 있다는 점도 가계부채 위험성을 줄이는 요인이다. 통계청과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이 공동으로 실시한 가계금융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2월을 기준으로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 중 부채를 보유한 가구는 28.8%에 불과했다. 반면 중간 소득계층인 3분위 가구의 부채 보유 비중은 65.4%,고소득층에 속하는 4분위와 5분위는 각각 71.4%,75.3%였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상환능력이 있는 4,5분위 고소득층이 가계부채의 70% 이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가계대출 부실이 은행의 대규모 손실로 이어질 가능성도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4월 말 국내 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0.65%로 집계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가계대출 연체율이 지난해 말보다 0.04%포인트 상승했지만 미국(3월 3.42%) 등 주요국이 대부분 1%를 넘는 것에 비하면 위험한 단계가 아니다"고 설명했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