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물가수준 낮지만 상승률은 OECD 상위권"
입력
수정
2000년대 우리나라 물가상승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 회원국 중 8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G경제연구원 신민영 수석연구위원, 윤상하 책임연구원은 28일 `장기적인 물가 압력 경제구조 변화 요구한다'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히며 "특히 최근 들어서는 공급충격 등으로 상승률이 더욱 가팔라졌다"고 지적했다.
신 위원 등이 OECD 자료를 인용한 바에 따르면 OECD 평균을 100으로 봤을 때 우리나라 물가 수준은 67로 다른 회원국에 비해 낮은 편에 속한다.
전체 34개 회원국 중 우리나라보다 물가수준이 낮은 나라는 멕시코와 터키에 불과하고 1인당 소득수준이 비슷한 나라 가운데서도 마찬가지다.
OECD에서 구매력지수(PPP) 환율 기준 1인당 명목 국내총생산(GDP)이 2만5천달러에서 3만달러 사이에 있는 국가는 체코, 포르투갈, 폴란드, 이스라엘, 그리스, 뉴질랜드 등인데 이 중 우리나라의 물가수준이 가장 낮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낮은 물가수준과는 달리 물가상승률은 상당히 높은 편이다.
2000년대 우리나라 물가상승률 평균 3.2%로 아이슬란드, 헝가리, 멕시코, 슬로바키아, 에스토니아, 슬로베니아, 그리스에 이어 8번째였다.
더욱이 신 위원 등에 따르면 중장기적으로 물가 부담을 가져올 수 있는 여러 요인이 존재해 물가불안을 심화시킨다.
이들은 "대외적으로는 풍부한 글로벌 유동성과 중국의 인플레이션 수출, 대내적으로는 서비스업 부문의 낮은 생산성, 불완전경쟁 시장구조 및 비효율 등이 불안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지적했다.
또 "단기적인 물가압력은 그때그때 여건에 따라 호전될 수도 악화될 수도 있지만 국내외 경제 추세와 구조를 보면 장기적으로 우리나라 경제의 물가 부담을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며 "금리 인상과 같은 수요조절 수단으로 대응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장기적인 물가압력을 낮추려면 외부여건에 쉽게 흔들리는 취약성을 극복하고 거시경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전재홍기자 jhjeon@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