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 오닐 "문제는 이탈리아가 아닌 중국"
입력
수정
[0730]“이탈리아보다 더 큰 문제는 중국이다.”
11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골드만삭스의 자산운용담당 책임자인 짐 오닐은 상승장이 지속될 수 있을지 여부는 이탈리아보다는 중국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그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3일간의 가장 큰 변화는 중국의 인플레이션 지수”라며 “이 이슈는 올 하반기 내내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지난 주말 발표된 중국 인플레이션 지수는 6.4%를 기록했다.이는 최근 3년내 가장 높은 수준이다.중국 중앙은행과 정부 인사들은 높은 인플레이션을 잡는게 최대의 현안이라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중국의 높은 물가는 글로벌 시장에 악재임이 분명하지만 오닐은 이 상황을 다르게 판단하고 있다.그는 “중국 물가가 3년내 최고란 말은 표면적으로 안좋게 들리지만 이를 달리 해석하면 중국의 인플레이션이 정점 근처에 달했다는 것을 뜻한다”고 분석했다.트레이더들도 중국 인플레이션이 정점에 달했다는데 대부분 동의하고 있으며 이견을 찾아보기 힘들다고 CNBC는 전했다.
오닐은 인플레이션 위험이 거론된다는 것은 중국 정부가 이에 대처하기 위한 금융정책을 펴게 될 것임을 시사하는 것이고 이는 결국 글로벌 강세장에 불을 붙이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오닐은 “성장하는 브릭스 소비자들의 구매력과 금융정책의 조합은 강세장을 만들어가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이는 미국도 마찬가지라는 분석이다.미국에서 고용동향이 안좋게 나왔기 때문에 정부가 경기부양적 정책을 지속할 수 밖에 없을 것이란 결론이다.
CNBC는 그러나 이런 분석은 장기투자자들을 위한 것이며 단기 투자자들에게는 전혀 다른 메시지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트레이더 패티 에드워드는 “최소한 한달간 러프 패치를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이는 이탈리아 재정위기에 이미 일부 투자자들이 과민반응을 하고 나섰기 때문이다.또 이탈리아 부채 문제 해결이 지연될 경우 ‘전염에 대한 공포’가 시장을 덮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이탈리아 부채문제 해결이 장기화되면 고위험 자산에 대한 혐오감이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김용준 기자 junyk@hankyung.com
11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골드만삭스의 자산운용담당 책임자인 짐 오닐은 상승장이 지속될 수 있을지 여부는 이탈리아보다는 중국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그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3일간의 가장 큰 변화는 중국의 인플레이션 지수”라며 “이 이슈는 올 하반기 내내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지난 주말 발표된 중국 인플레이션 지수는 6.4%를 기록했다.이는 최근 3년내 가장 높은 수준이다.중국 중앙은행과 정부 인사들은 높은 인플레이션을 잡는게 최대의 현안이라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중국의 높은 물가는 글로벌 시장에 악재임이 분명하지만 오닐은 이 상황을 다르게 판단하고 있다.그는 “중국 물가가 3년내 최고란 말은 표면적으로 안좋게 들리지만 이를 달리 해석하면 중국의 인플레이션이 정점 근처에 달했다는 것을 뜻한다”고 분석했다.트레이더들도 중국 인플레이션이 정점에 달했다는데 대부분 동의하고 있으며 이견을 찾아보기 힘들다고 CNBC는 전했다.
오닐은 인플레이션 위험이 거론된다는 것은 중국 정부가 이에 대처하기 위한 금융정책을 펴게 될 것임을 시사하는 것이고 이는 결국 글로벌 강세장에 불을 붙이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오닐은 “성장하는 브릭스 소비자들의 구매력과 금융정책의 조합은 강세장을 만들어가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이는 미국도 마찬가지라는 분석이다.미국에서 고용동향이 안좋게 나왔기 때문에 정부가 경기부양적 정책을 지속할 수 밖에 없을 것이란 결론이다.
CNBC는 그러나 이런 분석은 장기투자자들을 위한 것이며 단기 투자자들에게는 전혀 다른 메시지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트레이더 패티 에드워드는 “최소한 한달간 러프 패치를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이는 이탈리아 재정위기에 이미 일부 투자자들이 과민반응을 하고 나섰기 때문이다.또 이탈리아 부채 문제 해결이 지연될 경우 ‘전염에 대한 공포’가 시장을 덮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이탈리아 부채문제 해결이 장기화되면 고위험 자산에 대한 혐오감이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김용준 기자 juny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