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 칼럼] 북한의 언론

국제 인권단체인 프리덤하우스가 발표한 '2011 언론자유 보고서'에서 북한의 언론자유는 196개국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내리 8년째 꼴찌다. 법과 제도가 보도 내용에 미치는 영향,정치적 압력과 통제,경제적 압력,피해 사례 등을 평가한 결과 북한의 언론자유지수는 97점이었다. 점수가 높을수록 자유가 제한된다는 뜻이니 그 실정을 알 만하다.

그렇게 통제가 심한 데도 자생적 언론활동이 조금씩 나타나고 있다. 대표적인 게 '북녘 내부인들이 만드는 잡지'를 표방한 '임진강'이다. 2007년 11월 '림진강'이란 제호로 일본에서 창간됐으나 지금은 국내에서 제작된다고 한다. 비밀 점조직으로 이뤄진 북한 주민들과 탈북자,중국 방문자들이 현지 상황을 전한다. 직업은 교사 공무원 무역상 등 다양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사 초고는 주로 북한과 중국 접경지대에서 작성되고 이를 수정 보완해서 낸다. 발행 부수 500여부 중 150여부가 제3국을 통해 북한으로 들어간다. 북한에 상주하는 외국 언론사도 있기는 하다. 중국 신화통신과 인민일보,러시아 이타르타스통신은 정식 지국과 주재 기자를 둬왔다. 물론 북한 당국이 원하는 소식을 전한다. 서방 언론 중엔 AP통신의 영상부문 계열사 APTN 지국이 2006년 5월 평양에 개설됐다. 특파원은 없고 북한인들이 자체 선별한 영상을 APTN 본사로 보낸다. 같은 해 9월엔 일본 교도통신 지국이 문을 열었다.

그러던 북한이 돌연 언론 개방의 폭을 넓히고 있다. 지난달 29일 AP통신의 취재 · 사진기자를 평양에 상주시킨다는 양해각서(MOU)를 교환하더니,며칠 전엔 로이터통신에 일반 뉴스 외에 긴급뉴스,피처뉴스 영상까지 제공하기로 했다. 지금까지 로이터는 조선중앙통신으로부터 일반 뉴스와 사진만 받았다. 로이터 기자들의 정기 방북도 추진키로 했단다.

이는 한국과의 교류가 단절된 상황에서 북한의 입장을 외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략이라는 의견이 많다. 꽉 막힌 나라가 아니라 국제사회와 교류하며 한반도 문제를 풀려고 한다는 신호를 보낸 것이란 해석이다. 그렇더라도 당장은 크게 달라질 건 없을 것 같다. 카터 전 대통령 방북처럼 언론도 그들이 필요한 만큼만 이용하려 할 게 뻔하다. 북한은 3대세습 체제 유지에 조금이라도 방해가 되는 건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정환 논설위원 jh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