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중국의 시대착오적 보도통제
입력
수정
지난달 29일 밤 중국의 신문들은 한바탕 큰 홍역을 치렀다. 원저우 열차사고 1주일을 맞아 30일 토요일자로 제작했던 특집판을 모두 폐기하라는 공산당 선전부의 긴급 지시가 떨어졌기 때문이다. 중국인들은 사람이 죽으면 1주일 뒤에 혼령이 돼서 다시 찾아온다고 믿고 회혼제(回魂際)를 지낸다. 중국 언론들도 이에 맞춰 열차사고를 조명하는 특집판을 만들었다.
그러나 선전부는 이날 각 언론사에 "신문 잡지는 물론 온라인 매체들도 긍정적인 내용이나 정부가 제공한 정보를 제외하고는 고속철 사고를 더 이상 보도하지 말라"고 지시했다. 또 신문들에 열차사고 관련기사를 1면에 싣지말라고 요구했다. 신화통신도 이날 신문사에 연락해 열차사고와 관련된 자신들의 탐사보도를 이용하지 말아달라고 요청했다. 이로 인해 신경보 중국경영보 21세기경제보도 등은 8~12페이지에 달하는 고속철도 특집기사들을 모두 폐기처분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전했다. 공산당의 이런 조치는 곧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微博)를 통해 알려지면서 거센 비판을 받았다. 한 기자는 웨이보에 "밤 10시에 대체기사를 쓰라는 전화를 받았다"며 "너무 슬퍼 자살충동까지 났다"고 적었다. 미국에 살고 있는 샤오메이라는 한 네티즌은 "공산당원들은 높은 자리에만 올라가면 인민들과는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된다"며 "중국의 신문을 더이상 믿을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는 이미 열차사고 발생 후 한 차례 보도지침을 내놓았다. 당시에도 긍정적인 미담기사 위주로 보도하라는 지시를 했지만 민간신문은 물론이고 신화통신과 CCTV 등 관영매체까지 나서 고속철의 문제점을 분석하는 기사를 내보냈다. 사고가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 실시간으로 알려지고 있는 상황에서 미담기사에만 매달릴 수 없다는 것을 언론들 스스로 잘 알았기 때문일 것이다.
지금 중국인들은 언론 보도통제 사실까지 실시간으로 알려지는 시대에 살고 있다. 그런데도 공산당은 여전히 보도통제로 진실을 가릴 수 있다고 믿고 있는 것 같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독재자들은 언론을 누르면 대중의 분노를 해소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이번에는 그 방법이 틀렸다"고 지적했다. 이번 열차사고는 시대에 뒤처진 중국 공산당의 한 단면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김태완 베이징 특파원 twkim@hankyung.com
그러나 선전부는 이날 각 언론사에 "신문 잡지는 물론 온라인 매체들도 긍정적인 내용이나 정부가 제공한 정보를 제외하고는 고속철 사고를 더 이상 보도하지 말라"고 지시했다. 또 신문들에 열차사고 관련기사를 1면에 싣지말라고 요구했다. 신화통신도 이날 신문사에 연락해 열차사고와 관련된 자신들의 탐사보도를 이용하지 말아달라고 요청했다. 이로 인해 신경보 중국경영보 21세기경제보도 등은 8~12페이지에 달하는 고속철도 특집기사들을 모두 폐기처분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전했다. 공산당의 이런 조치는 곧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微博)를 통해 알려지면서 거센 비판을 받았다. 한 기자는 웨이보에 "밤 10시에 대체기사를 쓰라는 전화를 받았다"며 "너무 슬퍼 자살충동까지 났다"고 적었다. 미국에 살고 있는 샤오메이라는 한 네티즌은 "공산당원들은 높은 자리에만 올라가면 인민들과는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된다"며 "중국의 신문을 더이상 믿을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는 이미 열차사고 발생 후 한 차례 보도지침을 내놓았다. 당시에도 긍정적인 미담기사 위주로 보도하라는 지시를 했지만 민간신문은 물론이고 신화통신과 CCTV 등 관영매체까지 나서 고속철의 문제점을 분석하는 기사를 내보냈다. 사고가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 실시간으로 알려지고 있는 상황에서 미담기사에만 매달릴 수 없다는 것을 언론들 스스로 잘 알았기 때문일 것이다.
지금 중국인들은 언론 보도통제 사실까지 실시간으로 알려지는 시대에 살고 있다. 그런데도 공산당은 여전히 보도통제로 진실을 가릴 수 있다고 믿고 있는 것 같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독재자들은 언론을 누르면 대중의 분노를 해소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이번에는 그 방법이 틀렸다"고 지적했다. 이번 열차사고는 시대에 뒤처진 중국 공산당의 한 단면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김태완 베이징 특파원 tw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