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대중화 10년 이상 걸려"
입력
수정
獨 프랑크푸르트 모터쇼 - 베른트 보어 보쉬 자동차부문 회장 인터뷰"자동차 산업의 미래는 전기차에 있습니다. 하지만 전기차가 대중화하는 데는 좀 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봅니다. "
SB리모티브에 5억弗 투자…LG화학은 무서운 경쟁자
세계 1위 자동차 부품회사인 독일 보쉬그룹의 베른트 보어 자동차부문 회장(사진)은 14일(현지시간) 독일 프랑크푸르트모터쇼장에서 한국경제신문과 가진 인터뷰에서 "전기차용 배터리 기술이 아직은 장거리 주행을 뒷받침하기는 힘들다"며 이같이 말했다. 보어 회장은 "몇 년 내에 전기에너지로 300~400㎞를 달릴 수 있는 플러그인(plug-in) 하이브리드 전기차가 나올 것으로 보이지만 지금 전기차들은 대부분 도심에서 짧은 거리를 운행하는 데 적합할 것 같다"고 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내연기관과 전기모터를 결합한 차량으로 미리 충전한 전기에너지로 먼저 주행한 뒤 힘이 떨어지면 동력을 내연엔진으로 바꾸는 하이브리드카를 말한다. GM의 전기차 볼트가 대표적이다.
그는 2020년 전체 자동차 시장에서 순수 전기차가 3~5%,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는 6~7%를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10년 이내에 전기차 방식이 줄잡아 10% 선까지 늘어날 것이라는 얘기다.
보어 회장은 "보쉬는 리튬이온 배터리 등 전기차 부품 투자를 꾸준히 늘리면서 내연기관 투자에도 힘을 쏟고 있다"고 소개했다. 내연기관에서도 고연비 · 친환경 기술이 지속 발전할 수 있고 시장도 넓다는 판단에서다. 그는 구체적으로 가솔린 엔진의 직접연료분사장치 발전,디젤엔진의 연료효율시스템 개선,그리고 차가 정지하면 자동으로 시동이 꺼졌다가 출발 때 재시동하는 스타트앤드 스톱 (start&stop)시스템 확대 등을 통해 지속적인 연비 개선 및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보어 회장은 "보쉬는 미래에 대비해 어느 한 가지 분야에 집중하는 대신 최적화된 내연기관은 물론 전기차,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 기술 등 관련 산업 전반에 걸쳐 연구 · 개발(R&D)을 지속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올해에만 자동차사업 매출 32억유로(4조5000억원)의 10%가량을 R&D에 투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어 회장은 보쉬와 삼성SDI가 50 대 50의 비율로 합작해 설립한 SB리모티브와 관련,"2013년까지 5억달러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며 "배터리와 자동차 산업이 결합된 SB리모티브는 그 자체로 찬사를 받는 합작"이라고 강조했다. 보쉬가 최근 자체 배터리공장을 설립키로 한 데 대해선 "해당 프로젝트는 선박용 리튬이온 배터리 공장일 뿐"이라며 "보쉬가 단독으로 자동차용 배터리 사업에 진출하는 게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보쉬가 개발하는 배터리 분야 기술은 서로 공유할 예정으로 SB리모티브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보어 회장은 GM의 전기차 볼트에 리튬이온 전지를 공급하는 LG화학의 경쟁력을 묻는 질문에 "배터리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춘 회사로 우리의 경쟁자"라고 말했다.
프랑크푸르트=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