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하우스푸어' 급증…"안심할 때 아니다"
입력
수정
창간 47주년 한경특별기획 - 성장 멈추면 위기 온다한국의 가계 부채는 지난 6월 말 1050조원으로 가구당 6042만원에 달했다. 한 해 소득보다 많은 빚을 지고 있다.
(2) 자산버블 붕괴가 양극화 가속
GDP대비 가계부채 비율 80%…거품 꺼지면 중산층 붕괴 우려
선진국과 비교해도 한국의 가계빚은 과도한 수준이다. 지난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80%로 선진 10개국과 중국 브라질 등 신흥국의 평균치(약 65%)를 크게 웃돌았다. 부채 대국으로 불리는 일본은 가계부채 비율이 66%에 그쳤고,유럽 재정위기의 한 복판에 있는 독일과 프랑스도 60%를 밑돌았다. 브라질(13%) 중국(12%) 인도(10%)는 말할 것도 없다. 가계부채 급증은 소비감소와 개인파산을 초래하고 자산시장 위축과 금융권 부실화로 이어질 수 있다. 한국은 '가계발 신용대란'이라는 최악의 사태가 발생하진 않았지만 부작용은 심각하다. 빚을 내 무리하게 집을 샀다가 대출원리금 상환에 허덕이는 '하우스푸어'가 많다.
통계청에 따르면 1990년 75.4%였던 한국의 중산층 비중은 지난해 67.5%로 7.9%포인트 줄었다. 중산층은 도시가구 월평균 소득의 50~150% 범위에 있는 계층을 말한다. 지난 20년간 월평균 가구소득의 150%를 초과하는 고소득층은 17.5%에서 20%로 늘었지만 저소득층(월평균 가구소득의 50% 미만)은 7.1%에서 12.5%로 늘었다.
박덕배 현대경제연구원 전문연구위원은 "가계부채 문제가 터져 복합불황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려면 철저한 미시 · 시장적 사전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욱진 기자 ventu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