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개발硏,“경기도 접도지역 클러스터 조성으로 상생”

[한경속보]경기도와 강원·충남·충북 등 인근 지방자치단체 사이에 제조업 발전패턴이 비슷한 지역을 클러스터로 묶어야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경기개발연구원 이상훈 선임연구위원은 13일 ‘경기도 접도지역의 산업입지 패턴과 발전방안’ 연구를 통해 경기도와 강원·충남·충북 등 접도지역 지자체의 산업별 특성을 분석하고 지자체간 협력으로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산업을 한데 묶어 제시했다.보고서는 1999년부터 2009년까지 경기·충남·충북·강원도 등 접도지역의 제조업 종사자수 변동 패턴이 유사한 시·군을 동일 그룹으로 묶어 접도지역 간 클러스터 조성이 가능한 업종을 제시했다. 경기-충남 접도지역인 경기도 평택·안성시와 충남 천안·아산시,당진군은 식료품과 자동차 및 트레일러,기타기계 및 장비,전자부품·컴퓨터·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부문이 협력가능 업종으로 분석됐다.경기-충북 접도지역인 경기도 안성·이천시,여주군과 충북 진천·음성군,충주시의 협력 가능 업종으로는 음료,섬유,펄프,의료정밀광학기기,가구,식료품,자동차 및 트레일러,전자부품·컴퓨터·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로 파악됐다.경기-강원 접도지역인 경기도 여주·양평·가평·연천군,포천시와 강원도 원주·춘천시,횡성·화천·철원군의 지역간 협력 가능 업종은 섬유,가구,식료품,의료정밀광학기기,자동차 및 트레일러,전기장비 업종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훈 선임연구위원은 접도지역 상생방안으로 입지관리를 위한 ‘산업입지 상생발전 협의체’ 운영을 제안했다.‘산업입지 상생발전 협의체’는 산업입지관련 규제 등 다양한 정보를 교환하고 입지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논의의 장이다.산업입지 변동패턴이 비슷한 자치단체 간 협의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또 접도지역 산업단지의 개별입지 집적지역은 계획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기존 개별입지 집적지역 중 계획입지로 전환해야 할 곳과 그렇지 않은 지역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기준에 적합한 집적지역은 지자체 간 협력을 통해 계획적 정비를 유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상훈 선임연구위원은 “산업입지 상생발전 협의체에 경기도를 포함한 강원,충남,충북 등 광역자치단체를 비롯해 해당 지자체의 입지관련 실무자와 전문가를 포함해,접도지역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산업입지 지침과 해당 지자체의 실정을 반영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수원=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