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의 계절…달러·원자재 춤출 듯"
입력
수정
세계 경제가 정책의 계절을 맞고 있다.
오는 26일로 예상되는 유로존 재정위기 해결을 위한 합의안 도출, 높아지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추가 부양책 기대감, 신흥국의 긴축기조 완화 가능성 등 각국 정부의 정책에 따라 세계 경제의 민감도도 높아질 것이란 분석이다.23일 하이투자증권은 "유럽 재정위기 해소책 합의와 미 연준의 추가 경기부양책이 맞물릴 경우 일시적으로 유동성 확대에 기반한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재차 강화될 수 있다"며 "달러화 약세 전환과 원자재 가격 반등 현상이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고 판단했다.
다만 중국 등 신흥국 경기 모멘텀(동력)이 약화되고 있고, 선진국 경기 역시 저성장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커 달러 약세 및 원자재 가격 반등은 제한적인 현상에 그칠 것으로 봤다.
박상현 연구원은 "'합의안 도출=유럽 재정리스크 해소'라는 공식을 적용할 수 없지만, 이번 유럽연합(EU) 정상회담에서 시장의 기대치에 충족하는 합의안이 도출될 경우 유럽 재정리스크는 해소의 가닥을 잡아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시장이 기대하는 합의 조건으로는 △그리스의 자생력을 회복시키기 위한 부채탕감 비율의 확대와 민간투자자들의 참여 △엄격한 기준을 적용한 스트레스테스트 이후 유럽은행들의 충분한 자본확충 및 관련한 공적자금 투입안 △국채시장 안정을 위한 유럽재정안정기금(EFSF) 확충이나 레버리지안 도입 등을 꼽았다.
박 연구원은 "지난 3분기 미국의 성장률 추정치와 달리 4분기와 내년 1분기 추정치는 오히려 하향수정되고 있다"며 "더블딥은 아니지만 미국 경기가 저성장의 굴레에서 당분간 벗어나지 못할 것이며 예상치 못한 충격이 올 경우 재차 더블딥 리스크에 빠질 수 있는 상황"이라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내달 초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또 다시 경기부양책이 제시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신흥국들은 선진국 경기의 둔화리스크와 긴축 후유증 등으로 성장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에 정책기조가 물가에서 성장으로 점차 선회하고 있다는 설명이다.그는 "이번주 EU 정상회담과 11월 초 FOMC 회의 결과에 따라서는 달러화 약세와 원자재 가격 강세 현상이 당분간 이어질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고 전했다.
한경닷컴 한민수 기자 hms@hankyung.com
오는 26일로 예상되는 유로존 재정위기 해결을 위한 합의안 도출, 높아지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추가 부양책 기대감, 신흥국의 긴축기조 완화 가능성 등 각국 정부의 정책에 따라 세계 경제의 민감도도 높아질 것이란 분석이다.23일 하이투자증권은 "유럽 재정위기 해소책 합의와 미 연준의 추가 경기부양책이 맞물릴 경우 일시적으로 유동성 확대에 기반한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재차 강화될 수 있다"며 "달러화 약세 전환과 원자재 가격 반등 현상이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고 판단했다.
다만 중국 등 신흥국 경기 모멘텀(동력)이 약화되고 있고, 선진국 경기 역시 저성장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커 달러 약세 및 원자재 가격 반등은 제한적인 현상에 그칠 것으로 봤다.
박상현 연구원은 "'합의안 도출=유럽 재정리스크 해소'라는 공식을 적용할 수 없지만, 이번 유럽연합(EU) 정상회담에서 시장의 기대치에 충족하는 합의안이 도출될 경우 유럽 재정리스크는 해소의 가닥을 잡아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시장이 기대하는 합의 조건으로는 △그리스의 자생력을 회복시키기 위한 부채탕감 비율의 확대와 민간투자자들의 참여 △엄격한 기준을 적용한 스트레스테스트 이후 유럽은행들의 충분한 자본확충 및 관련한 공적자금 투입안 △국채시장 안정을 위한 유럽재정안정기금(EFSF) 확충이나 레버리지안 도입 등을 꼽았다.
박 연구원은 "지난 3분기 미국의 성장률 추정치와 달리 4분기와 내년 1분기 추정치는 오히려 하향수정되고 있다"며 "더블딥은 아니지만 미국 경기가 저성장의 굴레에서 당분간 벗어나지 못할 것이며 예상치 못한 충격이 올 경우 재차 더블딥 리스크에 빠질 수 있는 상황"이라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내달 초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또 다시 경기부양책이 제시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신흥국들은 선진국 경기의 둔화리스크와 긴축 후유증 등으로 성장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에 정책기조가 물가에서 성장으로 점차 선회하고 있다는 설명이다.그는 "이번주 EU 정상회담과 11월 초 FOMC 회의 결과에 따라서는 달러화 약세와 원자재 가격 강세 현상이 당분간 이어질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고 전했다.
한경닷컴 한민수 기자 hm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