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피건선 환자 10명 중 9명, 비듬이나 건조증 등 타 질환과 증상 혼동
입력
수정
• 레오파마, 국내 두피건선 환자 80명 대상 ‘두피건선 질환 인지도 조사’ 결과 발표
• 초기 증상 발견 시, 피부과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한 전문적인 관리 및 치료 받아야
• 대부분 증상 방치 후 악화된 상태로 병원 방문해
• 치료 중단 시 재발의 위험성 높아, 꾸준한 치료 및 관리 필수
두피건선은 참을 수 없는 극심한 가려움증과 더불어 수시로 떨어지는 은회색의 각질들로 인해 타인의 눈에 쉽게 띄기 때문에 환자들이 받는 정신적 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질환이다. 특히, 사회활동이 왕성하고 외모에 민감한 10-30대 젊은 층에서 많이 나타나 심리적 위축, 대인기피, 자신감 부족 등의 문제를 유발, 자칫 삶의 질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두피건선에 대한 인지도는 여전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적 제약회사 레오파마가 최근 20-40대 두피건선 환자 80명(남녀 각각 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두피질환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두피건선 환자의 10명 중 9명은 최초 증상 발현 시 단순비듬이나 건조증, 아토피 등 타 질환과 혼동해 본인이 두피건선 환자인지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또한, 질환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역시 매우 낮은 수준으로 ‘두피건선 질환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의 28%만이 ‘심각한 질환’이라고 답하였으며, ‘기능성 헤어용품, 두피의 청결유지 등을 통해 비교적 쉽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 한다는 응답도 62%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 되어 증상 및 질환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질환에 대한 낮은 인지도는 치료 및 관리에 대한 소홀함으로 이어져, 두피건선 환자 중 절반(47%)은 한 차례도 병원을 방문한 경험이 없었으며, 병원의 방문한 경험이 있는 환자의 경우도 최초 증상 발견 후 병원방문까지 평균 4.3개월(남성은 1.8개월, 여성은 6.2개월)이 소요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환자의 52%는 두피건선의 초기 증상 발견 시 비듬용 기능성 샴푸나 헤어 트리트먼트 용품을 먼저 찾았으며, ‘머리를 자주 감는다’(11%)거나 ‘보습제품을 바른다’(6%) 등 자가 치료법을 택하는 경우가 많았다.또한, 응답자의 과반수(56%) 이상은 잘못된 대체치료법 선택으로 인해 두피건선 증상이 상당부분 진행 된 이후에야 병원을 방문하는 것으로 조사, 이 과정에서 증상이 더욱 악화됨은 물론, 시간적·비용적 낭비가 초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피건선은 자가면역 이상이나 유전적 환경적 요인 등으로 인해 두피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증식하는 질환으로 단순 비듬이나 건조증과는 다른 질환이다. 한번 생긴 두피건선은 쉽게 낫지 않고 재발이 잦은 편이지만, 당뇨병이나 고혈압처럼 정확한 진단과 지속적인 치료를 통해 관리한다면 증상 완화가 가능한 질환이다. 두피건선 치료는 다른 신체 부위 건선과 마찬가지로 질환의 중증도, 병변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는데, 증상이 가벼운 경우에는 국소치료를,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국소치료 외 광선치료와 전신치료 등을 병행하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신속하고 우수한 효과와 안전성을 겸비한 젤 타입의 치료제가 출시되어, 만성 두피건선 환자들도 장기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어 환자들의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참고자료]
두피건선 (Scalp Psoriasis)▲ 건선의 정의
건선은 얼굴, 두피 등 신체 곳곳의 피부가 두꺼워지면서 각질이 과도하게 생기는 질환으로, 대표적인 만성 피부질환이자 완치가 어려운 자가면역 질환이다.
전체 인구의 약 1~2%에서 발생하며,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피부면역세포(T세포)의 활동이 증가하면서 분비된 면역 물질이 각질 세포를 자극해 과다한 증식과 피부 염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 외에도 유전적 환경적 요인, 약물, 피부자극, 건조, 상기도 염증, 정신적 스트레스 등이 건선을 악화시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인의 피부 세포는 평균 28일을 주기로 재생을 반복하나, 건선 환자의 경우 3~5일 정도로 그 주기가 매우 짧으며, 이로 인해 죽은 세포가 미처 떨어져 나가지 못하고 비듬과 같은 각질로 피부 위에 겹겹이 쌓이게 된다. 과도한 각질뿐만 아니라, 가려움증, 좁쌀 같은 발진 등도 건선의 주요 증상 중 하나이다.▲ 두피건선의 증상
두피건선은 건선과 마찬가지로, 비정상적으로 빠른 두피세포의 성장과 관련이 있다. 주요 증상은 두피 위 붉은 발진이나 은백색의 인설(각질), 가려움증, 홍반 등이 있다.
두피건선은 두피 전체에 영향을 미치며 두피 가장자리(hairline)를 넘어 윗이마, 뒷목, 귀 주변까지 확대되기도 한다. 증상 정도는 개인에 따라 다른데 심한 경우 두껍고 딱지가 있는 판형(plague) 건선이 두피 전체를 뒤덮는 경우도 있다. 일부에서는 부위가 두피로 국한되는 경우도 있으나, 두피건선 환자의 대부분은 일반 건선환자와 마찬가지로 신체 다른 부위에도 건선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피건선 초기에는 단순 비듬과 잘 구분이 되지 않아 정확하게 진단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두피 각질이 떨어지는 대신 머리카락에 엉켜 붙어 주변 부위에 쌓이거나 손으로 두피를 만질 때 과다한 각화를 쉽게 느낄 수 있다면 분명한 두피건선으로 볼 수 있다.
▲ 두피건선의 진단 및 치료
두피건선은 재발이 잦은 만성 피부 질환이나, 정확한 진단과 지속적인 치료를 통해 증상 완화가 가능하다.먼저 두피를 포함한 전체 신체 부위(특히 무릎, 팔꿈치, 손발톱 등)에 좁쌀 크기의 붉은 발진, 은백색의 두꺼운 각질, 가려움증 등 이상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 피부과 전문의를 찾아 건선 여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 만약 신체 다른 부위에 판형의 건선 증상이 있는 경우, 두피에도 각질이 발생했다면 두피건선일 확률이 높다.
다른 신체 부위 건선과 마찬가지로 두피건선의 치료는 질환의 중증도, 병변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증상이 가벼운 경우에는 대개 국소 치료(Topical Treatment)로 진행되는데, 스테로이드 제제(Steroids)나 칼시포트리올(Calcipotriol) 등의 非스테로이드제제(Non steroid)가 주로 쓰이며 증상이 심해지면 국소 치료 외에 광선 치료(UV therapy), 전신 치료(Systemic treatment) 등을 병행하게 된다
• 초기 증상 발견 시, 피부과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한 전문적인 관리 및 치료 받아야
• 대부분 증상 방치 후 악화된 상태로 병원 방문해
• 치료 중단 시 재발의 위험성 높아, 꾸준한 치료 및 관리 필수
두피건선은 참을 수 없는 극심한 가려움증과 더불어 수시로 떨어지는 은회색의 각질들로 인해 타인의 눈에 쉽게 띄기 때문에 환자들이 받는 정신적 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질환이다. 특히, 사회활동이 왕성하고 외모에 민감한 10-30대 젊은 층에서 많이 나타나 심리적 위축, 대인기피, 자신감 부족 등의 문제를 유발, 자칫 삶의 질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두피건선에 대한 인지도는 여전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적 제약회사 레오파마가 최근 20-40대 두피건선 환자 80명(남녀 각각 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두피질환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두피건선 환자의 10명 중 9명은 최초 증상 발현 시 단순비듬이나 건조증, 아토피 등 타 질환과 혼동해 본인이 두피건선 환자인지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또한, 질환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역시 매우 낮은 수준으로 ‘두피건선 질환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의 28%만이 ‘심각한 질환’이라고 답하였으며, ‘기능성 헤어용품, 두피의 청결유지 등을 통해 비교적 쉽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 한다는 응답도 62%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 되어 증상 및 질환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질환에 대한 낮은 인지도는 치료 및 관리에 대한 소홀함으로 이어져, 두피건선 환자 중 절반(47%)은 한 차례도 병원을 방문한 경험이 없었으며, 병원의 방문한 경험이 있는 환자의 경우도 최초 증상 발견 후 병원방문까지 평균 4.3개월(남성은 1.8개월, 여성은 6.2개월)이 소요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환자의 52%는 두피건선의 초기 증상 발견 시 비듬용 기능성 샴푸나 헤어 트리트먼트 용품을 먼저 찾았으며, ‘머리를 자주 감는다’(11%)거나 ‘보습제품을 바른다’(6%) 등 자가 치료법을 택하는 경우가 많았다.또한, 응답자의 과반수(56%) 이상은 잘못된 대체치료법 선택으로 인해 두피건선 증상이 상당부분 진행 된 이후에야 병원을 방문하는 것으로 조사, 이 과정에서 증상이 더욱 악화됨은 물론, 시간적·비용적 낭비가 초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피건선은 자가면역 이상이나 유전적 환경적 요인 등으로 인해 두피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증식하는 질환으로 단순 비듬이나 건조증과는 다른 질환이다. 한번 생긴 두피건선은 쉽게 낫지 않고 재발이 잦은 편이지만, 당뇨병이나 고혈압처럼 정확한 진단과 지속적인 치료를 통해 관리한다면 증상 완화가 가능한 질환이다. 두피건선 치료는 다른 신체 부위 건선과 마찬가지로 질환의 중증도, 병변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는데, 증상이 가벼운 경우에는 국소치료를,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국소치료 외 광선치료와 전신치료 등을 병행하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신속하고 우수한 효과와 안전성을 겸비한 젤 타입의 치료제가 출시되어, 만성 두피건선 환자들도 장기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어 환자들의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참고자료]
두피건선 (Scalp Psoriasis)▲ 건선의 정의
건선은 얼굴, 두피 등 신체 곳곳의 피부가 두꺼워지면서 각질이 과도하게 생기는 질환으로, 대표적인 만성 피부질환이자 완치가 어려운 자가면역 질환이다.
전체 인구의 약 1~2%에서 발생하며,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피부면역세포(T세포)의 활동이 증가하면서 분비된 면역 물질이 각질 세포를 자극해 과다한 증식과 피부 염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 외에도 유전적 환경적 요인, 약물, 피부자극, 건조, 상기도 염증, 정신적 스트레스 등이 건선을 악화시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인의 피부 세포는 평균 28일을 주기로 재생을 반복하나, 건선 환자의 경우 3~5일 정도로 그 주기가 매우 짧으며, 이로 인해 죽은 세포가 미처 떨어져 나가지 못하고 비듬과 같은 각질로 피부 위에 겹겹이 쌓이게 된다. 과도한 각질뿐만 아니라, 가려움증, 좁쌀 같은 발진 등도 건선의 주요 증상 중 하나이다.▲ 두피건선의 증상
두피건선은 건선과 마찬가지로, 비정상적으로 빠른 두피세포의 성장과 관련이 있다. 주요 증상은 두피 위 붉은 발진이나 은백색의 인설(각질), 가려움증, 홍반 등이 있다.
두피건선은 두피 전체에 영향을 미치며 두피 가장자리(hairline)를 넘어 윗이마, 뒷목, 귀 주변까지 확대되기도 한다. 증상 정도는 개인에 따라 다른데 심한 경우 두껍고 딱지가 있는 판형(plague) 건선이 두피 전체를 뒤덮는 경우도 있다. 일부에서는 부위가 두피로 국한되는 경우도 있으나, 두피건선 환자의 대부분은 일반 건선환자와 마찬가지로 신체 다른 부위에도 건선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피건선 초기에는 단순 비듬과 잘 구분이 되지 않아 정확하게 진단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두피 각질이 떨어지는 대신 머리카락에 엉켜 붙어 주변 부위에 쌓이거나 손으로 두피를 만질 때 과다한 각화를 쉽게 느낄 수 있다면 분명한 두피건선으로 볼 수 있다.
▲ 두피건선의 진단 및 치료
두피건선은 재발이 잦은 만성 피부 질환이나, 정확한 진단과 지속적인 치료를 통해 증상 완화가 가능하다.먼저 두피를 포함한 전체 신체 부위(특히 무릎, 팔꿈치, 손발톱 등)에 좁쌀 크기의 붉은 발진, 은백색의 두꺼운 각질, 가려움증 등 이상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 피부과 전문의를 찾아 건선 여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 만약 신체 다른 부위에 판형의 건선 증상이 있는 경우, 두피에도 각질이 발생했다면 두피건선일 확률이 높다.
다른 신체 부위 건선과 마찬가지로 두피건선의 치료는 질환의 중증도, 병변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증상이 가벼운 경우에는 대개 국소 치료(Topical Treatment)로 진행되는데, 스테로이드 제제(Steroids)나 칼시포트리올(Calcipotriol) 등의 非스테로이드제제(Non steroid)가 주로 쓰이며 증상이 심해지면 국소 치료 외에 광선 치료(UV therapy), 전신 치료(Systemic treatment) 등을 병행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