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를 뒤흔들 수 있는 ‘테일 리스크’는…
입력
수정
향후 세계와 한국 증시를 뒤흔들 수 있는 ‘일곱 가지 테일 리스크’는…
요즘 월가에서는 향후 증시에 복병이 될 수 있는 ‘테일 리스크(tail risk)’을 찾기에 분주하다. 올해는 위기 3년차에 발생하는 ‘애프터 크라이시스(혹은 애프터 쇼크)’ 문제를 경시해 주가 예측이 크게 빗나갔기 때문이다.
‘테일 리스크’란 정규분포의 양쪽 끝 부문으로, 증시 입장에서는 발생 가능성이 낮지만 일단 발생하면 주가를 크게 뒤흔들어 놓을 수 있는 변수를 말한다. 그 가능성이 커지면 꼬리가 살찌는 이른바 `팻 테일 리스크(fat tail risk)`로 각종 가변변수의 변동폭이 확대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앞으로 주가 흐름을 겪어 놓을 수 있는 ‘테일 리스크’로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금리가 인상국면으로 전환돼 미국경기가 ‘더블 딥’에 빠지는 경우다. 최근 미국증시가 비교적 견조한 흐름을 보이는 것도 3분기 성장률이 2.5(2분기 1.3)로 발표됨에 따라 ‘더블 딥’에 대한 우려가 낮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비록 3분기 성장률은 높게 나왔지만 고용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수준은 아니다. 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고용문제를 해결하려면 성장률이 최소한 잠재수준인 3를 웃돌아야 한다. 이 때문에 물가 등을 감안해 금리를 올릴 경우 1930년대 ‘에클스 실수(Eccles`s failure)`처럼 언제든지 ’더블 딥‘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둘째, 유럽위기를 풀어가는 과정에서 정상 간에 합의된 총론을 실무급 협상을 통해 각론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이견이 도출되는 경우다. 또 지원의사를 밝힌 중국, 러시아 등 브릭스 국가들이 선진국과의 대타협(grand bargain)에 실패해 실행에 옮겨지지 않는 경우도 해당된다. 그리스 디폴트보다 더 크게 증시를 흔들어 놓을 수 있다.
`위기극복 3단계` 이론으로 볼 때 돈이 부족한 유동성 문제를 극복해야 유럽통합이 갖고 있는 내부적인 시스템을 해결하면 유럽경기가 회복되고 통합도 공고히 될 수 있다. 우선순위는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하는 일로 각론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회원국 간 이견을 보이거나 브릭스 국가들이 지원에 나서지 않는다면 더 이상 기댈 곳이 없어진다.
셋째, 중국이 `중진국 함정(middle income trap)`에 빠지는 경우로, 특히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증시에 커다란 타격이 예상된다. 최근 중국은 ‘외연적 성장경로’에서 ‘내연적 성장경로’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심한 `성장통(growth pains)`을 겪고 있다. 엎친데 덥친 겪으로 지난해초 이후 강력한 긴축정책으로 경착륙 우려까지 제기되는 상황이다.
중국이 아르헨티나, 필리핀처럼 중진국 함정에 빠지려면 권력층은 인민들에 영합하고 인민들은 욕구분출이 심해져야 한다. 이 경우 ‘고비용-저효율’ 구조가 정착되면서 경제가 한 단계 퇴보한다. 선입견과 달리 중국은 정경분리의 원칙이 지켜지고 있고 인민들에 대한 통제시스템이 잘 작동돼 중진국 함정에 빠지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넷째,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 선진국과 신흥국 간의 글로벌 불균형이 심해져 환율분쟁이 심해지는 경우다. 출범 초 이후 오바마 정부는 달러 약세정책을 추진해 오고 있다. 유럽은 재정위기, 일본은 초엔고로 우려되는 불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각각 유로화와 엔화를 약세로 돌려나야 한다.
특정국의 평가절하책은 대표적인 ‘근립궁핍화 정책’에 해당한다. 미국 등 선진국들이 일제히 자국통화 약세를 추진한다면 중국 등 신흥국들은 맞대응이 불가피하다. 당면한 세계경제 현안을 풀어가기 위해 글로벌 공조가 필요한 상황에서 선진국과 신흥국 간의 갈등이 심해진다면 세계경제와 글로벌 증시는 깊은 수렁에 빠질 수 있다.
다섯째, 내년에는 유난히 선거가 많이 치러진다. 미국, 러시아 등 중심국 일수록 대통령 선거가 예정돼 있고 중국도 정권교체가 이뤄진다. 우리만 하더라도 총선과 대선이 함께 치러진다.
갈수록 각종 선거는 정치적 포퓰리즘 성향이 강해지면서 그만큼 비용도 많이 드는 추세다. 임금과 재정은 한번 늘어나면 줄이기가 어려운 ‘하방 경직성(downward rigidity)`을 갖고 있다. 이미 재정적자와 국가채무가 위험수위를 넘어선 상황에서 재정지출이 더해진다면 ’재정건전화‘라는 내년도 각국의 최우선 목표달성은 어렵게 된다.
여섯째, BOP(Base of Pyramid, 빈곤층)의 반란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중산층이 몰락하면서 하루 2달러 이하로 소비하는 최하위 BOP 계층이 크게 늘고 있다. 유엔연합(UN)에 따르면 세계 인구의 약 70가 넘는 43∼45억명이 BOP 계층으로 분류된다.
재스민 혁명, 반월가 시위 등 올들어 부쩍 크고 작은 BOP 계층의 반란이 늘어나는 추세다. 이 과정에서 장기 집권자들의 퇴출도 잇따르고 있다. BOP 계층의 반란은 부(富)를 추구하는 증시에는 많은 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 변수다. 특히 우리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북한과 대치하고 있는 상황이다.
마지막으로 세계경제 무정부 상태(Anarchy)다. 오프 라인이든 온 라인이든 이제 세계는 하나의 지구촌 사회를 실감케 한다. 당면한 세계경제와 국제금융 현안을 풀어가기 위해서는 글로벌 공조가 필요하다.
하지만 각국 간 이해관계는 갈수록 자국의 이익을 중시하는 이기주의 색채가 강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각국의 입장을 조율하기 위해서는 초국가적인 기구가 절실한 상황이다.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 최고단위로 떠오른 주요 20개국(G20)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할 경우 세계경제와 글로벌 증시의 앞날은 불 보듯 뻔하다.
인터넷뉴스팀
한국경제TV 주요뉴스
ㆍ"술자리 시비에 살인"...40대 자수
ㆍ가짜 배달주문으로 족발 가로챈 10대 입건
ㆍ"올해의 IT 제품 어떤 것이 선정됐나?"
ㆍ[포토]女 10명중 7명 "사귀기 전 이성의 차량 고려"
ㆍ[포토]수녀되려 했던 21세 미스 베네수엘라, 미스 월드 등극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터넷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