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휘어지는 비휘발성 메모리 개발…상용화 가능
입력
수정
KAIST는 신소재공학과 이건재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상용화가 가능한 휘어지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휘어지는 메모리는 휘어지는 기판(플렉시블 디스플레이)위에 메모리를 쓰거나 읽거나 지우는 것이 가능한 기술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단말기' 등 플렉시블 전자제품 개발을 위해서는 필수적이다.그 동안 여러차례 휘어지는 메모리 성질을 갖는 물질들이 보고되기는 했다. 하지만 메모리 셀 간의 간섭현상 때문에 소재 한 건당 하나의 데이터만 읽어 동시에 수많은 양의 메모리를 처리할 수 없어 사실상 실용화가 불가능했다.
이 교수팀은 유연한 기판 위에 고성능의 실리콘 반도체를 구현한 뒤 전원이 꺼져 있을 때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비휘발성'의 저항메모리를 대응시키는 방법으로 이 같은 간섭현상을 해결했다고 설명했다.
이에따라 수많은 메모리셀을 자유자재로 제어하면서 모든 메모리 기능을 완벽하게 작동시킬 수 있게 돼 실제 플렉시블 전자제품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이 교수팀은 전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나노과학기술(NT) 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10월호 온라인판에 게재됐으며 국내외 특허로도 출원됐다.
한경닷컴 속보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hankyung.com
휘어지는 메모리는 휘어지는 기판(플렉시블 디스플레이)위에 메모리를 쓰거나 읽거나 지우는 것이 가능한 기술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단말기' 등 플렉시블 전자제품 개발을 위해서는 필수적이다.그 동안 여러차례 휘어지는 메모리 성질을 갖는 물질들이 보고되기는 했다. 하지만 메모리 셀 간의 간섭현상 때문에 소재 한 건당 하나의 데이터만 읽어 동시에 수많은 양의 메모리를 처리할 수 없어 사실상 실용화가 불가능했다.
이 교수팀은 유연한 기판 위에 고성능의 실리콘 반도체를 구현한 뒤 전원이 꺼져 있을 때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비휘발성'의 저항메모리를 대응시키는 방법으로 이 같은 간섭현상을 해결했다고 설명했다.
이에따라 수많은 메모리셀을 자유자재로 제어하면서 모든 메모리 기능을 완벽하게 작동시킬 수 있게 돼 실제 플렉시블 전자제품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이 교수팀은 전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나노과학기술(NT) 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10월호 온라인판에 게재됐으며 국내외 특허로도 출원됐다.
한경닷컴 속보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