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를 한류 새 콘텐츠로 활용해야"
입력
수정
문화부·국회 정책토론회"전통문화의 산업화를 위해서는 대량생산,표준화,문화가치 중심의 차별화 전략 등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특정 계층 의존형 시장 구조에서 벗어나 소비자들의 숨은 욕구를 찾아 상품화하는 시장 선도형 산업으로 바꾸어야 한다. "
유동환 안동대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교수는 9일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전통문화,산업화의 길을 열다' 정책토론회에서 "한류가 일고 있지만 전통문화산업은 여전히 미약한 수준"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국회 김광림 의원실이 공동 개최한 이 토론회에서 유 교수는 "전통문화를 산업화하려면 이 분야를 하나의 독립된 산업 범주로 인정하는'전통문화산업육성진흥법'을 제정하고 범정부 차원의 전통문화산업진흥위원회 구성,산학협력 마이스터 양성 제도 도입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 교수는 또 전통문화촌 지정 · 육성,전통문화산업단지 진흥,소재와 문양 등 상품화 지원,공동 브랜드 개발,관광과 연계한 전통 의례 및 생활 체험 프로그램 보급 등 산업 융합형 사업 개발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내 전통문화산업 규모는 총 25조1077억원으로 전체 산업 대비 약 10%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말했다.
유재혁 기자 yoo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