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청년백수 울리는 박재완의 '고용 대박' 타령

통계청에 따르면 10월 실업률이 2.9%로 9년 만에 2%대로 내려갔다.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50만1000명이 늘어 17개월 만에 50만명선을 넘어섰다고 한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8월 취업자가 49만명 늘었을 때 '고용 서프라이즈'라고 하더니, 이번엔 "마(魔)의 50만명대에 들어섰다"며 '고용 대박'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고용률이 증가하고 실업률이 줄면서 그동안 고용통계를 둘러싼 실업률 사각지대 논란도 깨끗이 해소했다고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수치만 놓고 보면 환영할 일이다. 실업률이 천정부지인 선진국과 달리 완전고용에 가까운 모양새이기 때문이다. 2009년 7만2000명 줄었던 취업자 수가 지난해 32만3000명, 올해는 월 평균 40만6000명 늘어난 점도 미흡하나마 다행스런 일이다. 하지만 학계나 연구기관들이 실업통계의 허점을 줄기차게 지적해온 것을 상기할 때 과연 '고용 대박'이라고 자평할 일인지 의문이다. 당장 주위를 봐도 청년 백수가 넘쳐나고, 퇴직자 주부 등 구직 희망자들이 줄 서 있는 게 현실이다. 실업통계가 현실과 동떨어진 인상을 주는 것은 분류기준상의 허점 탓이다. 잠재적 실업자를 너무 쉽게 비경제활동인구로 제외해 버린다. 고시학원 직업훈련기관에 다녀도 구직활동으로 간주하지 않고 모두 비경제활동인구로 뺀다. 취업준비생이 편의점 아르바이트로 한 시간만 일해도 실업자가 아니다. 이런 부류의 취업준비생이 지난해 62만5000명으로 20대 청년 실업자의 두 배에 이른다는 게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분석이다. 한마디로 통계상 실업자가 되기 어려운 나라가 한국이다. 일본이 취업준비 중이라면 구직활동 요건에 관계없이 실업자로 간주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고용률은 21위에 그친 반면 실업률은 두 번째로 낮다. 일하고 싶은 사람은 많고 고용은 충분치 않은데도 실업률만 기형적으로 낮다면 분명 통계에 문제가 있다고 보는 게 상식이다. 이런 통계를 갖고 주무장관이 실업률 사각지대 논란이 해소됐다고 자평하는 것은 취업전쟁에 내몰린 젊은이들에 대한 모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