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노원구 복지센터, 주민 참여…'사각' 없애
입력
수정
뻥 뚫린 복지전달 체계 - 사회통합委·한경 공동기획…(2) 해외선 어떻게우리나라는 호주나 뉴질랜드처럼 통일된 지역복지센터 모델은 없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별 특성에 맞는 복지 전달 체계를 만들어 주민 만족도를 높이는 곳도 있다.
찾아가는 서비스 '호평'
서울 노원구가 대표적이다. 노원구는 임대아파트가 밀집해 있어 기초생활수급자나 장애인 등 복지 수요자 비중이 서울 평균 대비 두 배 정도 높다. 총 예산 4070억여원 중 복지 예산이 2100억원에 이른다. 먼저 호주와 비슷한 '종합복지센터'를 구축했다. 전국 지자체 중 최초로 장애인지원과를 만들었고 고용노동부의 고용상담센터도 설치했다. 또 지역주민과 학교,종교단체,법률사무소 등 민간단체가 참여하는 '주민협의회'를 만들었다.
행정직을 복지직으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전체 인원의 12% 정도였던 복지 공무원을 17% 수준으로 늘렸다. 복지직은 가능한 한 현장에 배치했다. '찾아가는 서비스'를 하는 동시에 부정 수급자 관리도 강화하기 위해서다. 송해욱 노원구 주무관은 "현장을 자주 찾고 기존 수급자에 대한 사례 관리를 지속적으로 해야 만족도를 높이고 부정 수급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경기도도 우수 사례로 꼽힌다. 넓은 지역과 많은 인구를 감안해 지역을 도시형 농촌형 도농복합형으로 나눴다.
또 민간 사회복지관,정신보건센터,아동센터 등과 연계해 도내 시 · 군별로 '무한돌봄센터'를 만들었다. 경기도는 이 센터에 각 분야 민간 전문가를 직접 고용하고 있다. 역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취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