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지방 넘자 까먹는 '기억' 건망증 아닌…
입력
수정
"내가 여기에 왜 왔지?" 경계선이나 구획을 넘어서면서 나타나는 건망증은 단순한 건망증 탓이 아니라 이른바 '문지방 효과'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브리엘 라드반스키(Gabriel Radvansky) 미국 인디애나 노트르담 대학 심리학 박사는 어떤 방에 가서 무엇을 해야지 생각하고 막상 그 방엘 들어가면 기억이 잘 나지 않는 것에 대해 이 같은 이론으로 분석했다고 메디컬 뉴스 투데이가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이에 따르면 그 방의 문지방을 넘어서면서 지금하고 있는 행동이나 생각이 기억의 철(綴) 속에 이미 정리(file away)된 뒤이기 때문이라는 것.
다른 방에서 이루어진 마음의 결정이나 행동이 생각이 잘 나지 않는 것은 그 결정이나 행동이 이미 기억의 한 구획 속에 정리됐고 문지방이라는 구획의 경계선을 넘어서면서 지금은 다른 구획에 들어와 있기 때문이라고 라드반스키 박사는 설명했다.
그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면 기억력이 저하되는 이러한 '위치갱신효과(location-updating effect)'를 일련의 실험을 통해 입증했다.먼저 대학생들에게 컴퓨터 시뮬레이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자신이 한 방에서 문지방을 넘어 다른 방으로 건너가서 책상 위에 있는 어떤 물건을 다른 책상 위에 있는 물건과 바꾸어 놓도록 했다.
그 다음에는 방문을 통과해 다른 방으로 가지 않고 한 방 안에서 같은 거리를 걸어가서 똑 같은 일을 하도록 했다.
그 결과 문지방을 넘어 다른 방으로 갔을 때가 같은 방 안에서 같은 거리를 이동했을 때보다 지시받은 일을 잘 잊어버리는 것으로 나타났다.그의 연구팀은 이번에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이 아닌 실제 행동을 통해 똑 같은 일을 하도록 주문했다.
결과는 첫 번째 실험과 똑 같이 나타났다.
이는 문지방이 어떤 행위의 '경계선'으로 작용해 기억을 방해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3번째 실험에서는 한 방에서 어떤 일을 하리라고 마음을 먹게 한 다음 다른 여러 방의 문을 통과해 다시 원래의 방으로 돌아와 마음먹었던 것을 하게 했다.
기억력은 마찬가지로 좋지 않았다.
이는 문지방이라는 경계선을 넘나들면 처음 마음을 먹었던 장소의 환경을 복원시켜 주어도 기억력은 잘 회복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이다.
처음 마음먹었던 것을 위치이동 후에도 잊지 않을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영화 '메멘토'의 주인공처럼 마음먹은 것을 쪽지에 써가지고 다니는 것이라고 라드반스키 박사는 말했다.이 연구결과는 과학전문지 '실험심리학(Experimental Psych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한경닷컴 속보팀 news@hankyung.com
가브리엘 라드반스키(Gabriel Radvansky) 미국 인디애나 노트르담 대학 심리학 박사는 어떤 방에 가서 무엇을 해야지 생각하고 막상 그 방엘 들어가면 기억이 잘 나지 않는 것에 대해 이 같은 이론으로 분석했다고 메디컬 뉴스 투데이가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이에 따르면 그 방의 문지방을 넘어서면서 지금하고 있는 행동이나 생각이 기억의 철(綴) 속에 이미 정리(file away)된 뒤이기 때문이라는 것.
다른 방에서 이루어진 마음의 결정이나 행동이 생각이 잘 나지 않는 것은 그 결정이나 행동이 이미 기억의 한 구획 속에 정리됐고 문지방이라는 구획의 경계선을 넘어서면서 지금은 다른 구획에 들어와 있기 때문이라고 라드반스키 박사는 설명했다.
그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면 기억력이 저하되는 이러한 '위치갱신효과(location-updating effect)'를 일련의 실험을 통해 입증했다.먼저 대학생들에게 컴퓨터 시뮬레이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자신이 한 방에서 문지방을 넘어 다른 방으로 건너가서 책상 위에 있는 어떤 물건을 다른 책상 위에 있는 물건과 바꾸어 놓도록 했다.
그 다음에는 방문을 통과해 다른 방으로 가지 않고 한 방 안에서 같은 거리를 걸어가서 똑 같은 일을 하도록 했다.
그 결과 문지방을 넘어 다른 방으로 갔을 때가 같은 방 안에서 같은 거리를 이동했을 때보다 지시받은 일을 잘 잊어버리는 것으로 나타났다.그의 연구팀은 이번에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이 아닌 실제 행동을 통해 똑 같은 일을 하도록 주문했다.
결과는 첫 번째 실험과 똑 같이 나타났다.
이는 문지방이 어떤 행위의 '경계선'으로 작용해 기억을 방해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3번째 실험에서는 한 방에서 어떤 일을 하리라고 마음을 먹게 한 다음 다른 여러 방의 문을 통과해 다시 원래의 방으로 돌아와 마음먹었던 것을 하게 했다.
기억력은 마찬가지로 좋지 않았다.
이는 문지방이라는 경계선을 넘나들면 처음 마음을 먹었던 장소의 환경을 복원시켜 주어도 기억력은 잘 회복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이다.
처음 마음먹었던 것을 위치이동 후에도 잊지 않을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영화 '메멘토'의 주인공처럼 마음먹은 것을 쪽지에 써가지고 다니는 것이라고 라드반스키 박사는 말했다.이 연구결과는 과학전문지 '실험심리학(Experimental Psych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한경닷컴 속보팀 ne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