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고용·소비 호조…'더블딥 우려' 떨치나
입력
수정
11월 실업률 2년여만에 최저…블랙프라이데이 매출 증가유럽 재정위기와 함께 세계 경제 전망을 암울하게 하던 미국의 더블딥(짧은 경기회복 후 재침체) 우려가 ‘기우(杞憂)’일지 모른다는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고공행진하던 실업률은 지난달 32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고 미국 국내총생산(GDP)의 70%를 차지하는 소비도 되살아나고 있다. 제조업지수 등 최근 발표된 각종 경제지표가 미국 경기의 완만한 회복세를 가리키면서 증시에도 훈풍이 불고 있다. 하지만 실업률이 여전히 높은 수준인 데다 유럽 재정위기가 세계 경제의 뇌관으로 남아 있어 안심하기에는 이르다는 지적도 나온다.
"유럽 불확실성 남았다" 지나친 낙관론 경계도
◆미 실업률 8개월 만에 9% 밑으로지난 2일(현지시간)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11월 미국 실업률은 2009년 상반기 이후 최저 수준인 8.6%를 기록했다. 실업률이 9% 밑으로 떨어진 건 지난 3월 이후 처음이다. 9월 9.1%에 달하던 실업률은 10월 9.0%로 떨어지더니 11월에는 0.4%포인트 내려오며 하락폭이 커졌다.
일자리도 12만개(비농업 분야) 늘어났다. 공공부문에서는 2만개의 일자리가 줄었지만 민간 기업들이 14만명이나 고용을 늘린 때문이다. 노동부는 9월과 10월에도 당초 집계된 것보다 일자리 수가 7만2000개 더 많이 생겼다고 수정했다. 미국 고용시장이 우려했던 것보다 개선된 모습을 보이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1년 이상 실업상태가 지속된 장기 실업자가 여전히 570만명에 달하는 데다 실업률이 낮아진 주요인 중 하나가 31만5000명이 구직을 포기했기 때문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섣부른 낙관론은 경계해야 한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소비·제조 등 경제지표 모두 상승세
그러나 실업자 수가 한 달 새 59만4000명이나 줄어든 것은 분명히 호재다. 특히 실업률 하락과 함께 소비와 제조활동도 활발해지고 있다는 점은 더욱 고무적이다.
11월 미국 자동차 판매는 10월에 비해 14%나 늘어났다. 연말·연시 쇼핑시즌의 시작을 알리는 추수감사절 연휴 소매 매출도 작년보다 16% 늘어난 524억달러에 달했다. 이에 힘입어 11월 미국 소비자신뢰지수는 10월보다 15.1포인트 오른 56을 기록해 지난 7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경제조사단체인 콘퍼런스보드가 지난달 29일 밝혔다. 6개월 뒤 경기를 예상하는 경기선행지수는 전월 50.0에서 67.8로 상승했다. 소비심리가 살아나자 기업들의 제조활동도 늘어나는 선순환이 생겨나고 있다. 11월 미국 공급관리자협회(ISM)의 제조업지수는 52.7을 기록해 10월 50.8에 비해 1.9포인트 높아졌다. ◆경기부양 카드 접나
이중침체 우려가 줄면서 정부의 경기부양 필요성도 줄어든 건 악재다. 미국 중앙은행(Fed) 내에서 3차 양적완화(국채 매입을 통한 유동성 공급) 등 부양책에 반대하는 매파의 목소리가 커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는 투자심리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찰스 플로서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날 “미국 경제가 침체에서 벗어났지만 유럽이라는 불확실성이 여전히 남아 있다”며 여운을 남겼다.
공화당의 존 베이너 하원의장은 “일자리가 늘었다는 것은 분명히 좋은 소식이지만 미국의 실업률은 여전히 받아들이기 힘든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뉴욕=유창재 특파원 yoo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