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45% "올해 매출액, 영업이익 등 목표달성 불가능"
입력
수정
국내 절반에 가까운 기업이 당초 세웠던 올해 사업목표를 달성하기 힘들 것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제조업체 309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우리기업의 2012년 사업계획 수립현황’ 조사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44.7%가 ‘매출액과 영업이익 등 올해 사업목표 달성이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답했다. 지난해 같은 조사에서의 응답비중 21.0%보다 2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목표수준을 달성할 것’이라는 기업은 42.4%였고 ‘목표의 초과달성이 가능하다’는 기업은 12.9%에 불과했다.내년 사업계획에 대해서도 44.0%가 ‘불투명하고 가변적인 시장상황으로 사업계획 수립에 애로를 겪고 있다’고 답했다. ‘이미 수립했다’는 기업은 56.0%였다. 내년 경제 전망에 대해는 61.8%가 ‘올해보다 둔화될 것’이라고 답했고 ‘올해보다 활성화 될 것’이라는 응답은 7.8%에 불과했다.
불확실한 경기전망에도 불구하고 내년 사업목표에 대해서는 응답기업의 55.3%가 ‘매출액과 영업이익 등을 올해보다 높게 설정할 것’이라고 답했고 ‘올해 수준 유지’라는 기업은 28.8%였다. 중점사업 방향에 대해서는 응답기업의 절반가량(50.8%)이 ‘기존 주력사업의 강화’라고 답했다. ‘신성장동력 발굴’(26.5%), ‘신시장 개척 등 글로벌 경영 추진’(22.7%)이 뒤를 이었다.
내년 해외시장 진출확대를 계획하고 있는 기업들의 경우 48.3%가 ‘중국 등 아시아 시장’을 주요 진출 시장으로 꼽았고 ‘미국 등 북미시장’(26.5%), ‘유럽시장’(12.9%) 순으로 답했다. 기업투자 활성화를 위해 정부에 바라는 정책과제는 ‘환율 및 원자재가 안정’(58.9%), ‘임투세, 법인세 인하 등의 투자 관련 지원제도 유지’(18.1%), ‘규제완화 등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15.9%), ‘저금리기조 유지’(7.1%) 순으로 답했다.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기업들이 경제환경의 불확실성으로 인한 어려움이 큰 상황”이라며 “정부는 고군분투하고 있는 기업들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책지원이 이뤄지도록 힘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정현 기자 hit@hankyung.com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제조업체 309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우리기업의 2012년 사업계획 수립현황’ 조사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44.7%가 ‘매출액과 영업이익 등 올해 사업목표 달성이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답했다. 지난해 같은 조사에서의 응답비중 21.0%보다 2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목표수준을 달성할 것’이라는 기업은 42.4%였고 ‘목표의 초과달성이 가능하다’는 기업은 12.9%에 불과했다.내년 사업계획에 대해서도 44.0%가 ‘불투명하고 가변적인 시장상황으로 사업계획 수립에 애로를 겪고 있다’고 답했다. ‘이미 수립했다’는 기업은 56.0%였다. 내년 경제 전망에 대해는 61.8%가 ‘올해보다 둔화될 것’이라고 답했고 ‘올해보다 활성화 될 것’이라는 응답은 7.8%에 불과했다.
불확실한 경기전망에도 불구하고 내년 사업목표에 대해서는 응답기업의 55.3%가 ‘매출액과 영업이익 등을 올해보다 높게 설정할 것’이라고 답했고 ‘올해 수준 유지’라는 기업은 28.8%였다. 중점사업 방향에 대해서는 응답기업의 절반가량(50.8%)이 ‘기존 주력사업의 강화’라고 답했다. ‘신성장동력 발굴’(26.5%), ‘신시장 개척 등 글로벌 경영 추진’(22.7%)이 뒤를 이었다.
내년 해외시장 진출확대를 계획하고 있는 기업들의 경우 48.3%가 ‘중국 등 아시아 시장’을 주요 진출 시장으로 꼽았고 ‘미국 등 북미시장’(26.5%), ‘유럽시장’(12.9%) 순으로 답했다. 기업투자 활성화를 위해 정부에 바라는 정책과제는 ‘환율 및 원자재가 안정’(58.9%), ‘임투세, 법인세 인하 등의 투자 관련 지원제도 유지’(18.1%), ‘규제완화 등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15.9%), ‘저금리기조 유지’(7.1%) 순으로 답했다.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기업들이 경제환경의 불확실성으로 인한 어려움이 큰 상황”이라며 “정부는 고군분투하고 있는 기업들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책지원이 이뤄지도록 힘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정현 기자 h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