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N社, 대형 가맹점에 '뒷돈' 사실로 드러났다
입력
수정
'수수료 절반이상 리베이트' 제안 문서 입수카드사와 가맹점 사이 중간결제 업무를 대행하고 카드사로부터 수수료를 받는 밴(VAN)사들이 대형 가맹점에는 수수료의 절반 이상을 리베이트로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드업계는 이 같은 리베이트 관행만 사라져도 가맹점 수수료를 대폭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검은 관행' 없애면 카드 수수료 인하 가능
< VAN社 : 카드결제 대행 업체 >
한 밴사가 최근 일부 주유소에 보낸 공문에 따르면 이 회사는 가맹점 계약을 맺는 조건으로 카드승인 건수가 월 1만건을 넘을 경우 △현금 500만원과 결제 건당 60원 또는 △결제 건당 100원을 주유소에 지원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밴사가 카드사로부터 받는 수수료가 건당 150원 안팎이란 점을 감안하면 절반 이상을 가맹점에 리베이트로 제공하겠다는 것이다.이 밴사는 또 무선단말기(48만원)나 랜 단말기(35만원)를 무상으로 지원한다는 내용도 제시했다. 업계 관계자는 “큰 식당은 건당 40~50원 정도, 주유소 등 결제건수가 많은 우량 가맹점은 건당 100원 안팎을 뒷돈으로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되도록 많은 신용카드 가맹점을 확보하기 위해 계약 체결을 조건으로 가맹점에 뒷돈을 주는 것이 관례가 됐다”고 말했다.
우량 가맹점에는 대형 TV나 무료 인터넷 설치까지 지원하고 있다는 게 업계 전언이다. 일부에선 카드사로부터 받는 수수료보다 가맹점에 지원하는 리베이트가 더 많은 ‘역밴피’마저 나타나고 있다.
밴사가 가맹점에 제공하는 뒷돈 관행이 사라지면 카드사의 가맹점 수수료도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밴사가 카드사로부터 받는 수수료를 낮추게 되면서 카드사도 가맹점 수수료를 낮출 여지가 생기는 것이다. 밴 업계 관계자는 “리베이트 비용이 너무 커 밴 수수료를 낮출 여지가 없다”며 “리베이트가 사라진다면 밴 수수료를 인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카드 가맹점들도 “수수료율을 인하한다면 뒷돈 요구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결국 누가 먼저 나서느냐가 관건인 셈이다.금융당국은 그러나 카드사와 가맹점, 밴 업계의 관행을 알면서도 손 쓸 방법이 없다는 입장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리베이트가 카드 수수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실”이라며 “다만 밴 업계를 관리·감독할 규정이 없어 업계 자율에 맡길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일규 기자 black04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