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세 김정은'에 맡겨진 북한의 운명
입력
수정
김정일 사망…막내린 17년 철권통치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69)이 지난 17일 급병으로 사망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을 비롯한 북한 매체들이 19일 일제히 보도했다.
17일 오전 8시30분 심근경색
28일 장례식…조문 안 받아
이로써 1974년 후계자로 지명된 지 37년 만에, 1994년 김일성 주석 사후 북한 최고 권력 자리에 오른 지 17년 만에 철권통치가 막을 내렸다. 김 위원장 사망이라는 예기치 못한 급변사태가 돌출함에 따라 한반도 정세는 한 치 앞도 내다보기 힘든 격랑 속으로 빠져들 전망이다. 미국과 일본 등 한반도를 둘러싼 주요국은 비상태세에 돌입했다. 북한 매체는 이날 ‘전체 당원과 인민군 장병과 인민에게 고함’이란 제목의 발표문에서 김 위원장이 17일 오전 8시30분에 현지 지도의 길에서 급병으로 사망했다고 밝혔다. 중앙통신은 사망 원인에 대해 “17일 달리는 야전열차 안에서 중증 급성 심근경색이 발생하고 심한 심장성 쇼크가 합병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18일에 진행된 병리해부 검사에서는 질병의 진단이 완전히 확정됐다”고 전했다.
북한은 김정은 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28) 등을 포함해 232명으로 장의위원회를 구성했다. 중앙통신은 “(북한의) 군대와 인민은 후계자 김정은의 영도를 받들 것을 맹세했다”고 보도했다. 김정은 후계체제를 기정사실화한 것이다. 장의위는 공보를 통해 김 위원장의 시신을 금수산기념궁전에 안치하고, 오는 28일 평양에서 영결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장의위는 29일까지를 애도기간으로 정하고 중앙추도대회를 29일 개최할 계획이지만 “외국의 조의대표단은 받지 않기로 한다”고 전했다. 우리 정부의 외교·안보·정보 라인은 김 위원장 사망 사실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김정은 후계체제가 제대로 안착하지 않은 상황에서 김 위원장이 사망함으로써 한반도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증폭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북핵 6자회담 재개 흐름은 중단 위기에 처했다. 조심스럽게 대화를 모색하던 남북관계 역시 당분간 얼어붙을 수밖에 없다고 정부 당국자는 말했다. 김 위원장의 공백을 메우고 ‘김정은 체제’를 공고히 하려면 북한은 당분간 내부 단속 및 관리에 몰입할 수밖에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북한 내부는 극도의 혼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송호근 서울대 교수는 “김정일의 매제인 장성택을 중심으로 김정은 통치 체제를 구축하려고 할 것”이라며 “권력 승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권력자가 사망했기 때문에 권력 투쟁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북한 내부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남북한 사이에 군사적 긴장이 고조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윤덕민 외교안보연구원 교수는 “북한은 내부 강화가 필요할 때 밖(외부)을 건드린다”며 “북한이 핵·미사일 실험 등의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북한 붕괴 시나리오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