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금융산업 대전망] 내실 다지는 금융사들…위기 뒤에 올 기회 선점 나선다
입력
수정
유럽위기에 금융시장 변동 확대2012년은 국내 금융계에 위험과 기회가 공존하는 한 해가 될 전망이다.
외형경쟁보다 내부 유보 늘리고 해외진출 등 신시장 개척해야
국내외 금융시장의 환경은 녹록지 않다. 국제 금융시장의 불확실성 및 세계적인 경제성장 둔화로 국내 금융시장의 변동성 역시 커지고 있다. 남유럽 재정위기가 주변국 및 은행으로 번질 우려가 큰 데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 이후 북한 정세의 불확실성까지 겹치면서 상황에 따라서는 외국인 투자가 줄고, 외화 차입금의 급격한 유출이 일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상반기에는 특히 이탈리아 등 PIIGS(포르투갈 아일랜드 그리스 스페인) 국가의 채권 만기 도래가 집중돼 있어 국내 금융회사들이 해외에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여건이 악화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 같은 대내외적인 환경을 감안할 때 국내 금융회사들은 올해 대내외 불안 요인에 제대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확충하는 데 주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과도한 외형 경쟁보다는 이익의 내부 유보 확대 등을 통한 건전성 제고를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해까지 좋았던 금융회사들의 수익성 역시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금융당국도 금융회사들이 적정한 자본 여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자본 적정성 기준을 강화할 계획이다. 금융회사에는 강해지는 건전성 규제에 대비해야 하는 새로운 과제가 생긴 것이다.은행은 2013년부터 단계적으로 도입하는 바젤Ⅲ와 2015년 도입하는 유동성 규제 시행에 대비해야 한다. 보험사도 기본자본 요건을 개선하는 등 지급 여력에 대한 산정 기준 강화를 준비해야 할 때다.
중소기업의 부실 확대 가능성은 올해 금융권이 당면하고 있는 가장 큰 문제다. 최근엔 중소기업의 연체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고,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충당하지 못하는 한계기업도 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은행들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중소기업 금융환경 개선 대책에 적극적으로 협력해야 하는 상황을 맞고 있다. 금융당국이 매출액과 담보 중심의 중소기업 대출 관행을 기술력과 성장성 중심으로 전환하도록 유도하기로 한 만큼 은행 임직원의 면책제도 개선 등을 통한 심사 관행 혁신에도 나서야 할 것으로 보인다.900조원을 넘어선 가계부채의 연착륙도 금융권이 공동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다. 외환위기 이후 가계부채는 연평균 13%나 급증해왔다.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연 평균 7.3%)을 훨씬 웃도는 수치다.
다행스러운 것은 지난해 3분기 이후 은행권 가계대출은 적정한 수준으로 관리되고 있다. 하지만 비은행을 중심으로 가계대출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만큼 금융회사들은 다중채무자, 과다채무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 선제적으로 충격을 줄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소비자 보호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됐다. 올해 저축은행 부실, 금융회사의 개인정보 유출, 카드론 보이스피싱 피해 등에서도 볼 수 있듯 소비자 보호에 소홀했던 금융회사들은 앞으로 고객들에게 외면받을 수밖에 없다.금융회사들은 올해 당면한 과제에 대응하는 것을 넘어 위기 이후 찾아올 기회를 선점할 준비를 해야 한다. 해외 진출도 본격적으로 준비할 시기가 됐다. 최근 수년간 국낸 금융회사들이 해외 시장에 적극 진출한다는 거창한 계획을 잇따라 내놓았지만 큰 성과를 내지는 못했다는 평가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아울러 100세 시대를 대비한 은퇴 상품 개발과 초우량 고객을 겨냥한 프라이빗뱅킹 사업 등에서도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금융회사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류시훈 기자 bada@hankyung.c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