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버 비즈니스서 제2 벤처신화 나올 것"
입력
수정
M&A서 금융노년학 전문가로…한주형 퓨쳐모자이크연구소장“노령화가 획기적인 비즈니스 기회를 안겨줄 겁니다.” 100세 시대. 은퇴 후 30년이 넘는 여생을 어떻게 살아갈까가 화두다. 금융노년전문가인 한주형 퓨쳐모자이크연구소 소장(53·사진)은 “이제 기업들이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시니어 고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100세시대 노후준비 전도사
한경서 금융노년전문가 교육
중장년층 노후준비를 위한 ‘금융노년학’ 교육을 하고 있는 한 소장은 노령화를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니어 고객에게 어떤 서비스를 제공할지에 대한 해답을 기업이 찾아나설 때가 됐다는 설명이다. “중요한 걸 놓치고 있어요. 앙코르 라이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돈 못지않게 건강과 가족, 여가, 교육, 봉사 등 비(非)재무적 요소들이 중요합니다. 돈은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이 아닙니다.” 고령화 사회를 먼저 경험한 선진국들은 재무와 비재무분야의 균형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말도 덧붙였다. 최근 미국에선 금융노년학이 새로 떠오르고 있다고 소개했다. 한 소장은 기업 인수·합병(M&A) 전문가였다. 고려대 졸업 후 미국 인디애나주립대에서 경영학 석사(MBA), 뉴욕시립대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은 그는 미국 투자금융회사에서 일하다가 1997년 LG투자증권 M&A 팀장으로 스카우트돼 귀국길에 올랐다. 이후 M&A 전문업체인 글로벌앤어소시에이츠 등의 대표를 맡으며 앞만 보고 달렸다. 그러던 어느날 미국에서 청천벽력 같은 소식이 날아왔다. 부인이 암 선고를 받은 것. 결혼 20주년의 가혹한 선물이었다. 국내 사회활동을 접기로 결심한 그는 2005년 가족이 있는 미국으로 달려갔다. ‘백수’로 지내던 그는 우연히 잰 와슬 당시 노스캐롤라이나대 노년학과장한테 “고령화는 곧 비즈니스”라는 말을 들었다. “기업에서 효율성, 수익성, 생산성만 따지다가 처음으로 사람의 가치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됐어요. 뭔가 의미 있는 일을 해보고 싶었어요.”
한 소장은 이때부터 고령자들이 겪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변화 등을 공부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선진국 노령화 정책을 들여다 보기 위해 실버타운 자원봉사부터 호스피스 활동까지 경험했다. 수술 뒤 회복한 아내로부터 “꿀꿀한 얘기 그만하고 젊은이들 얘기를 좀 하자”는 핀잔을 들을 정도로 노인 문제에 몰입했다. 한 소장은 2008년 교보생명 초청으로 다시 돌아왔다. 노년전문위원이란 직책이었다. 우리투자증권을 대상으로 시니어비즈니스 컨설팅도 했다.
그는 가까운 미래에 실버산업이 글로벌 비즈니스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시니어 비즈니스로 제2의 벤처신화를 낳을 수도 있다고 봐요. 20~30대 젊은이들이 이 분야에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어요.” 그는 장·노년층을 위한 ‘50플러스 커뮤니티’를 만들어 볼 계획이다. 시니어비즈니스의 롤모델을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고령화는 단순한 비즈니스가 아니라 위대한 비즈니스라고 말하고 싶어요.” 한 소장은 24일 한경아카데미에서 금융인들을 위한 금융노년전문가(RFG) 자격증 과정을 개설한다. 시니어들의 심리·사회적 변화의 특징을 이해하고 비재무적인 서비스를 개발하는 프로그램이다.
최규술 기자 kyus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