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핏式 바이&홀드는 낡은 전략…수익 내려면 헤지펀드 투자를"
입력
수정
한국형 헤지펀드 콘퍼런스▶ 마켓인사이트 6월14일 오후1시24분 보도
세계경제 '뉴 애브노멀' 시대
변동성 큰 장세 일상화…중장기 수익내기 더 어려워
검증된 매니저 선택이 '중요'
연기금 참여해야 조기 정착
워런 버핏 벅셔해서웨이 회장은 ‘투자의 귀재’로 불린다. 그의 가치투자 전략은 투자의 정석으로 받아 들여진다. 하지만 자본시장연구원 등이 주최하고 한국경제신문이 후원해 14일 열린 ‘한국형 헤지펀드-새로운 도전과 기회’란 주제의 국제 콘퍼런스에서 버핏은 높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세계 경제의 환경변화를 반영하지 못한 낡은 투자 방식이라는 이유에서였다.기조연설자로 나선 마크 유스코 모건크릭캐피털 최고경영자(CEO)는 “세계 경제성장이 느려져 주식만으로는 큰 수익을 낼 수 없다”며 “버핏식 매수 후 보유(buy&hold) 전략의 시대는 지났다”고 말했다. 그는 “주식 채권 외에 통화 원자재 헤지펀드 등 다양한 대상에 투자해야 만족할 만한 수익을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뉴 애브노멀 시대 접어들어”
유스코 CEO는 “세계 경제가 ‘뉴 애브노멀(new abnormal)’ 시대에 접어들었다”고 규정했다. 그가 말하는 뉴 애브노멀은 시장 변동성이 일시적인 현상에 그치지 않고 일상적으로 나타나 위험이 높아진 상태를 뜻한다. 주가가 상승하다가 급락하는 패턴을 반복해 중장기적으로 수익을 내기 쉽지 않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그는 “미국 증시는 2000년 이후 장기 정체 국면에 접어들었다”며 “중장기 상승세를 전제로 하는 전통적인 매수 후 보유 전략은 효과적이지 않다”고 주장했다. 보다 높은 수익률을 내기 위해 그가 제안한 투자 방법은 헤지펀드 원자재 부동산 등 대체투자를 포트폴리오에 편입하는 것이다. 그는 “지난 20년간 주식과 채권을 60 대 40으로 섞은 포트폴리오가 연 평균 7.5% 수익을 낸 반면 헤지펀드와 사모펀드를 편입한 포트폴리오는 연 평균 9.5% 수익을 냈다”고 설명했다.
유스코 CEO는 금 원유 구리 등 원자재 가격의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단기적으로는 세계 경제 불확실성이 높아 원자재 가격이 약세를 보이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상승할 여지가 충분하다”며 “금은 온스당 3000달러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투명성이 가장 중요한 덕목”콘퍼런스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높은 수익을 내는 동시에 투명성이 높은 헤지펀드를 선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올리버 와이즈버그 시타델 아시아 대표는 “수익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수익을 어떻게 냈는지를 설명할 수 있는 헤지펀드 매니저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시장이 좋을 때는 누구나 돈을 벌 수 있지만 훌륭한 매니저는 하락장에서 위험 관리를 잘 하는 사람”이라고 덧붙였다.
윌리엄 더글러스 K2어드바이저 회장도 가장 중요한 헤지펀드 투자 기준으로 투명성을 꼽았다. 그는 “헤지펀드는 소기업”이라며 “실패할 수도 있지만 매니저를 검증할 수 있는 투명한 정책을 쓰는 헤지펀드를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운용하고 재무상황이 어떤지, 펀드매니저가 어디 출신인지 등을 따져봐야 한다”며 “매니저에게 어떤 인센티브가 주어지고 펀드 규모는 어느 정도인지도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기금 참여는 필수”‘한국형 헤지펀드’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 국내 연기금의 적극적 참여가 필요하다는 분석도 나왔다. 김종민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작년 말 기준 372조원에 이르는 국내 연기금 운용자금 중 0.5~1%만 헤지펀드에 투자해도 1조8600억~3조7200억원이 들어온다”며 “연기금 자금이 뒷받침된다면 국내 헤지펀드 성장에 밑거름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국내 연기금들이 헤지펀드 적정 투자비중을 평균 2.8%로 잡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연기금은 충분한 투자여력이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헤지펀드를 직접적으로 규제하기보다는 경쟁을 통한 혁신으로 경쟁력을 강화하도록 유도해야 한다”며 “인가요건을 자기자본과 전문 운용인력 등 필수적인 부분만 빼고 모두 자율화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진재욱 하나UBS자산운용 사장도 “인도와 일본이 과거 공매도와 통화 금융상품 거래 금지 등 강한 규제를 한 뒤 헤지펀드 산업이 급격히 위축됐다”며 한국형 헤지펀드에 가해진 규제를 가급적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연구위원은 “전면 자율화가 어렵다면 펀드 인가 요건을 대폭 완화한 뒤에 일정 기간이 지나면 자율화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다”며 “자산운용사는 일임수탁액 10조원 이상일 때만 헤지펀드를 운용할 수 있지만 이 기준을 1조원이나 5000억원 수준으로 크게 낮추는 식의 진입요건 완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승호/김석/안재광/김은정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