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그룹 총수 지분 1% 밑으로

내부지분율은 상승
그룹 지배력 더 커져
자산 기준으로 상위 10개 대기업집단(그룹)의 총수 지분율이 처음으로 1% 미만인 0.94%로 떨어졌다. 반면 인수·합병(M&A)과 기업 분할 등의 방법으로 내부 지분율을 높여 전체적인 지배구조는 더욱 공고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일 63개 상호출자 제한 기업집단과 소속 계열사 1831개의 주식 소유 현황 및 지분 구조를 발표했다. 정부가 주요 그룹의 전 계열사 지분 구조를 총괄해 보여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공정위에 따르면 전체 63개 기업집단의 내부 지분율은 31.4%로 지난해보다 2.8%포인트 증가했다. 내부 지분율이란 기업집단 소속 계열회사의 전체 자본금 중에서 총수, 친족, 임원, 계열사 등이 갖고 있는 주식 지분의 비중을 뜻한다.

유형별로는 총수가 있는 43개 그룹의 내부 지분율은 56.1%로 지난해보다 1.9%포인트 늘었다. 총수가 없는 기업집단 20곳의 내부 지분율도 10.9%로 지난해보다 4.2%포인트 증가했다.

이들 그룹은 기존 내부 지분율이 높은 회사를 계열사로 신규 지정했거나 물적분할을 통해 자본금 규모가 큰 회사를 신설하는 방법으로 내부 지분율을 높였다. 삼성전자가 지난 2월 LCD사업부를 물적분할해 삼성디스플레이를 설립한 것이나 GS그룹이 올해 초 에너지사업부를 기업 분할해 GS에너지를 만든 것이 대표적이다.삼성 등 10대 그룹 총수의 단독 지분율은 사상 처음으로 1% 미만인 0.94%를 기록했다. 총수가 있는 43개 기업집단의 총수 일가 지분율은 4.17%였다. 총수 일가의 지분율이 가장 낮은 곳은 5년 전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한 SK로 0.60%에 불과했다. 이어 △삼성 0.95% △금호아시아나 1.18% △현대중공업 1.21% △동양 1.44% 등의 순서로 지분율이 낮았다. 반대로 총수 일가 지분율이 가장 높은 기업집단은 한국타이어(34.85%)로 나타났다.

재계는 이번 공정위의 정보 공개가 대기업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유도하고 있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관계자는 “지배구조는 기업들이 경영 판단에 따라 선택한 결과인데도 공정위가 대기업 총수들이 전횡을 일삼는 것처럼 유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공정위의 자료 공개가 최근 경제민주화 요구 등 반기업 정서와 맞물려 기업 경영 방식에 대한 불필요한 오해를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신영/정인설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