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기온·체감온도 왜 다른가 했더니…

기상관측소 대부분 녹지대에
서울내 최고온도 3도나 차이
최근 기상청이 제공하는 공식 기온 예보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기상청의 온도 예보가 국민들이 체감하는 무더위를 제대로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기상청이 공식 발표한 2일 서울의 낮 최고기온은 35.5도. 그런데 같은 날 서초구는 37.7도, 강남구 37.3도, 영등포구는 37.0도를 기록했다. 서울 안에서도 3도 가까이 기온 차이가 났다.이유가 뭘까. 기상청이 발표하는 서울의 공식 기온은 종로구 송월동 관측소 측정치다. 대한제국 시절인 1907년 이곳에 기상관측소가 들어서면서 관측이 시작됐다. 송월동 관측소를 비롯해 전국에는 80개의 지역대표 관측소가 있다. 이곳에서 나온 측정치가 해당 지역의 공식 기온이다. 이외에도 전국 469곳에 무인자동기상관측장비(AWS)가 설치돼 있다. 장현식 기상청 통보관은 “지역대표 관측소는 주변 건축물에 의해 기온이나 바람이 영향을 받지 않는 곳에 두는 게 원칙”이라고 설명했다.

서초구나 강남구의 기온은 AWS로 측정한 온도이기 때문에 참고용일 뿐 서울의 공식 기온으로 인정받지 못한다. 문제는 각 지역대표 관측소에서 잰 기온이 해당 지역의 실제 더위 정도를 제대로 보여주지 못한다는 점이다. 송월동 관측소의 경우 고층 대형빌딩 밀집지역과 떨어져 있는 데다 인근에 공원도 있어 서울의 다른 지역에 비해 낮은 온도를 보인다. 다른 도시의 지역대표 관측소도 비슷한 상황이다.

AWS 기온 측정치에도 결점은 있다. AWS가 주민 생활권과 동떨어진 산기슭이나 정반대로 열기가 많은 콘크리트 바닥의 옥상에 세워진 사례도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31일 40.6도를 기록한 경북 경산 하양읍에도 AWS가 콘크리트 건물인 읍사무소 2층 옥상에 설치돼 있다. 기상청은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국의 모든 AWS에 대해 상시적인 유지보수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며 “관측값의 신뢰도에 문제가 없다”고 해명했다. ■ 무인자동기상관측(AWS)

automation weather system. 무인관측소에서 기온, 강수량 등을 측정해 기상청 본청으로 실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2006년 7월1일 첫 도입돼 현재 전국 469개소에 분산 설치돼 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