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서울 땅값 하락세로 돌아서
입력
수정
뉴타운 출구 전략이 추진 중인 서울의 땅값이 거의 2년 만에 하락세를 나타냈다. 전국 땅값도 지난 4월 이후 상승폭이 둔화되고 있다.
국토해양부는 지난달 전국의 땅값이 지난 6월에 비해 0.07% 올랐다고 21일 밝혔다. 이는 2008년10월 글로벌 금융위기 무렵 고점 때보다 0.38% 낮은 수준이다. 전국 땅값 상승률은 지난 3월과 4월 0.12%를 기록한 이후 5월 0.11%, 6월 0.1%에 이어 지난달 0.07%로 상승폭이 둔화되는 추세다.수도권(0.03%)과 지방(0.13%) 모두 상승세를 보였지만 서울의 땅값이 하락한 게 눈길을 끈다. 지난달 서울의 땅값은 6월에 비해 0.03% 떨어졌다. 서울 땅값이 전월보다 내림세를 보인 건 2010년10월 이후 21개월 만이다. 서울은 2008년 고점 대비 3.23% 빠진 상태다. 서울시 뉴타운 출구전략의 직접 영향권에 있는 성북구(-0.20%)와 은평구(-0.18%),중구(-0.10%) 등이 내림세를 주도했다.
지방의 경우 경남과 강원이 0.15%로 상승률이 높은 반면 행정구역에서 세종시가 빠진 충남은 0.11%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개별 시·군·구 중 세종시, 경기 하남시, 부산 강서구 등의 상승률이 높았다. 지난달 공식 출범한 세종시(옛 충남 연기군 일대)는 지난 6월보다 0.68% 급등, 지난 3월 이후 5개월 연속으로 전국 땅값 상승률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정부청사 1단계 1구역 완공, 세종시 내 기반시설 조성 등이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경기 하남시가 0.38% 올라 세종시의 뒤를 이었다. 미사지구 보금자리주택 개발 진행, 감일지구와 감북동 보금자리지구 추진, 신장동 복합쇼핑센터 개발 등이 땅값 상승 요인으로 분석된다.
부산 강서구(0.205%)도 강서신도시 개발사업이 마무리된 데다 대저2동 서부산유통단지와 명지오션시티 개발에 따른 기대감에 땅값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밖에 혁신도시와 이시아폴리스 건립이 진행 중인 대구 동구(0.201%)와 동계올림픽 개최 예정지인 강원 평창군(0.201%) 등도 땅값 상승률이 높았다.
용도지역별로는 계획관리지역(0.19%)과 녹지지역(0.12%) 등의 상승폭이 큰 반면 주거지역(0.03%)과 상업지역(0.04%)은 평균 상승률을 밑돌았다.지난달 토지거래량은 총 16만7463필지,1억3613만㎡로 지난해 같은달보다 필지수로는 9.1%,면적으로는 8.9% 각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 7월 평균 거래량과 비교해도 필지수 기준으로 7.5% 줄어든 수치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
국토해양부는 지난달 전국의 땅값이 지난 6월에 비해 0.07% 올랐다고 21일 밝혔다. 이는 2008년10월 글로벌 금융위기 무렵 고점 때보다 0.38% 낮은 수준이다. 전국 땅값 상승률은 지난 3월과 4월 0.12%를 기록한 이후 5월 0.11%, 6월 0.1%에 이어 지난달 0.07%로 상승폭이 둔화되는 추세다.수도권(0.03%)과 지방(0.13%) 모두 상승세를 보였지만 서울의 땅값이 하락한 게 눈길을 끈다. 지난달 서울의 땅값은 6월에 비해 0.03% 떨어졌다. 서울 땅값이 전월보다 내림세를 보인 건 2010년10월 이후 21개월 만이다. 서울은 2008년 고점 대비 3.23% 빠진 상태다. 서울시 뉴타운 출구전략의 직접 영향권에 있는 성북구(-0.20%)와 은평구(-0.18%),중구(-0.10%) 등이 내림세를 주도했다.
지방의 경우 경남과 강원이 0.15%로 상승률이 높은 반면 행정구역에서 세종시가 빠진 충남은 0.11%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개별 시·군·구 중 세종시, 경기 하남시, 부산 강서구 등의 상승률이 높았다. 지난달 공식 출범한 세종시(옛 충남 연기군 일대)는 지난 6월보다 0.68% 급등, 지난 3월 이후 5개월 연속으로 전국 땅값 상승률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정부청사 1단계 1구역 완공, 세종시 내 기반시설 조성 등이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경기 하남시가 0.38% 올라 세종시의 뒤를 이었다. 미사지구 보금자리주택 개발 진행, 감일지구와 감북동 보금자리지구 추진, 신장동 복합쇼핑센터 개발 등이 땅값 상승 요인으로 분석된다.
부산 강서구(0.205%)도 강서신도시 개발사업이 마무리된 데다 대저2동 서부산유통단지와 명지오션시티 개발에 따른 기대감에 땅값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밖에 혁신도시와 이시아폴리스 건립이 진행 중인 대구 동구(0.201%)와 동계올림픽 개최 예정지인 강원 평창군(0.201%) 등도 땅값 상승률이 높았다.
용도지역별로는 계획관리지역(0.19%)과 녹지지역(0.12%) 등의 상승폭이 큰 반면 주거지역(0.03%)과 상업지역(0.04%)은 평균 상승률을 밑돌았다.지난달 토지거래량은 총 16만7463필지,1억3613만㎡로 지난해 같은달보다 필지수로는 9.1%,면적으로는 8.9% 각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 7월 평균 거래량과 비교해도 필지수 기준으로 7.5% 줄어든 수치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