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류 타고 늘어나는 금융소비자 단체, 금융 공공성 강화 효과…난립 우려도
입력
수정
금융 공공성을 강조하는 사회 분위기가 강해지면서 관련 소비자단체들이 늘어나고 있다. ‘금융소비자협회’ ‘금융소비자연맹’ ‘금융소비자원’ ‘가계부채 탕감운동 본부(탕감본부)’ ‘빚을 갚고 싶은 사람들(빚갚사)’ ‘금융소비자 권리찾기 연석회의’ ‘금융채무 사회책임 연석회의’ 등 비슷비슷한 단체가 벌써 10여곳에 이른다.
무질서하게 난립한 것 같지만 이들에게도 나름 ‘계보’가 있다. 소비자 보호 중시라는 시류를 타고 가지를 치면서 새로운 단체가 만들어지는 양상이다.정치색이 덜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금융소비자연맹과 금융소비자원은 한 뿌리다. 금융소비자연맹은 2001년 설립된 보험소비자연맹이 간판을 바꿔 단 것이다. 공정거래위원회 소비자정책국장을 지낸 이성구 씨가 회장을 지냈고 이달 초 4선 국회의원 출신인 김영선 변호사를 새 회장으로 영입했다. 이 단체 사무처장 출신인 조남희 회장이 나와서 지난 7월 별도로 세운 단체가 금융소비자원이다. 양도성 예금증서(CD) 담합 의혹이 일자 발빠르게 1호 소송을 제기해 눈길을 끌었다.
진보진영 시민운동 단체와 밀접한 연관을 가진 단체는 지난해 설립된 금융소비자협회다. 조붕구 키코(KIKO)공대위 수석부위원장과 투기자본감시센터 공동 대표인 이대순 변호사가 함께 대표를 맡고 있다. 미국 월스트리트 점령 운동과 유사한 여의도 점령 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이 단체와 관련이 깊은 곳이 지난 13일 출범한 빚갚사다. 한지혜 청년유니온 위원장과 백성진 금융소비자협회 사무국장이 공동 대표다.
가장 과격한 주장을 펼치는 곳은 지난 6일 활동을 시작한 탕감본부다. 이 단체는 민주노총 등 노동운동 단체들과 관계가 있다. 빚갚사는 ‘금융의 공공성’을 내세워 갚을 수 있는 수준까지 채무 재조정을 요구한다. 반면 탕감본부는 ‘금융의 사회화’를 강조하며 가계부채를 상당 부분 없던 일로 돌리자고 주장하고 있다. 금융권은 긴장하고 있다. A은행 임원은 “과거에는 불완전 판매 등에 대해 민원을 제기하는 정도였지만, 지금은 소비자운동과 결합해 문제가 복잡해졌다”고 말했다.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B은행 임원은 “사실관계를 왜곡한 자료를 배포하거나 무리한 협찬을 요구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며 “추세는 받아들여야겠지만 수준 미달 단체가 난립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무질서하게 난립한 것 같지만 이들에게도 나름 ‘계보’가 있다. 소비자 보호 중시라는 시류를 타고 가지를 치면서 새로운 단체가 만들어지는 양상이다.정치색이 덜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금융소비자연맹과 금융소비자원은 한 뿌리다. 금융소비자연맹은 2001년 설립된 보험소비자연맹이 간판을 바꿔 단 것이다. 공정거래위원회 소비자정책국장을 지낸 이성구 씨가 회장을 지냈고 이달 초 4선 국회의원 출신인 김영선 변호사를 새 회장으로 영입했다. 이 단체 사무처장 출신인 조남희 회장이 나와서 지난 7월 별도로 세운 단체가 금융소비자원이다. 양도성 예금증서(CD) 담합 의혹이 일자 발빠르게 1호 소송을 제기해 눈길을 끌었다.
진보진영 시민운동 단체와 밀접한 연관을 가진 단체는 지난해 설립된 금융소비자협회다. 조붕구 키코(KIKO)공대위 수석부위원장과 투기자본감시센터 공동 대표인 이대순 변호사가 함께 대표를 맡고 있다. 미국 월스트리트 점령 운동과 유사한 여의도 점령 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이 단체와 관련이 깊은 곳이 지난 13일 출범한 빚갚사다. 한지혜 청년유니온 위원장과 백성진 금융소비자협회 사무국장이 공동 대표다.
가장 과격한 주장을 펼치는 곳은 지난 6일 활동을 시작한 탕감본부다. 이 단체는 민주노총 등 노동운동 단체들과 관계가 있다. 빚갚사는 ‘금융의 공공성’을 내세워 갚을 수 있는 수준까지 채무 재조정을 요구한다. 반면 탕감본부는 ‘금융의 사회화’를 강조하며 가계부채를 상당 부분 없던 일로 돌리자고 주장하고 있다. 금융권은 긴장하고 있다. A은행 임원은 “과거에는 불완전 판매 등에 대해 민원을 제기하는 정도였지만, 지금은 소비자운동과 결합해 문제가 복잡해졌다”고 말했다.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B은행 임원은 “사실관계를 왜곡한 자료를 배포하거나 무리한 협찬을 요구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며 “추세는 받아들여야겠지만 수준 미달 단체가 난립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