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 '인재 열전'] 삼성, 'S급 인재' 글로벌 사냥…더 강해진 '창조경영 DNA'
입력
수정
"내 업무 절반은 인재찾기"…이건희 회장, 팔걷고 인재경영“지역전문가를 만드는 데 몇 년 걸렸어. 1973년부터 만들라고 그랬어. 안 만들어. 1986년에 한 번 더 소리쳤어. 안돼. 회장되고 나서 1988년에 또 떠들었어. 그래도 안돼. 1990년에 고함을 질러버렸어, 사장 회의 때 소리를 질러버렸다고. 그랬더니, 그날로 당장 만들더란 말이야.”
이건희 삼성 회장이 ‘지역전문가 제도’를 만든 과정에 대해 한 말이다. 1년간 업무에서 벗어나 해외에 체류하며 현지를 넓고 깊게 알 수 있는 기회를 주는 이 제도는 인재 양성을 위해 이 회장이 기획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삼성 현지 마케팅의 근간이고, 급성장을 지탱하는 원천이 됐다(2011년 10월6일자)”고 평가할 정도다. 인재에 대한 이 회장의 사랑은 집착이라고 부를 만큼 상상 이상이다. 고교 동창인 홍사덕 전 의원에 따르면 이 회장은 고등학생 시절에도 “나는 사람에 대한 공부를 제일 열심히 한다”고 말하곤 했다고 한다.
◆삼성을 글로벌 인재 허브로
이 회장은 1990년대 중반 사장들에게 ‘5~10년 뒤 뭘 먹고살 것인지’ 보고서를 내도록 했다. 보고서를 읽은 이 회장은 “원하는 답을 쓴 사장은 아무도 없다. 1년 앞을 내다보기 힘들 정도로 빠르게 변하는 현실에서 5~10년 뒤를 예측하는 건 불가능하다. 해답은 이런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인재를 구하고 키우는 것”이라고 했다. 사장들에게 인재의 중요성을 강조한 일화다.이 회장이 인재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현실적이다. 그는 “반도체 라인 1개를 만들려면 30억달러가 드는데 누군가 회로선 폭을 반만 줄이면 생산성이 높아져 30억달러에 버금가는 효과를 거두게 된다. 천재 한 명이 수십만 명을 먹여살린다는 얘기가 바로 이런 것”이라고 설명한다.
삼성 인사팀장 출신의 모 사장은 “이 회장의 공은 순혈주의를 타파해 삼성을 글로벌 인재들이 모이게 한 것”이라고 했다. 이 회장은 1993년 신경영 선언 당시 “삼성조차도 상하 간의 학연 지연에 따른 이해가 조직의 이익에 우선한다”고 질타한 뒤 신인사제도를 도입했다. 실적에 따라 보상하는 능력주의 인사였다. 1995년 공채에선 학력 제한을 없앴다. “같은 직급이라도 3배 이상 연봉이 차이 나는 게 일류기업”이라는 이 회장 지시에 따라 2000년부터는 인센티브(PS, PI)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 덕분에 삼성전자 국내 사업장엔 지난해 말 기준으로 1200명의 외국인이 일하고 있다. 박사 학위를 가진 연구인력만 4900명에 이른다. 서울대보다 더 많은 숫자다.
◆창조경영으로 1위 질주지난해 8월 말 기자가 삼성전자의 한 사장에게 전화를 했더니 미국에서 받았다. 그는 점찍어둔 한 핵심 인재와 만나기 위해 연말 바쁜 스케줄을 다 제치고 미국에 가 있었다. 그 인재는 바로 손영권 현 삼성스트레티지&이노베이션센터 사장이다. 손 사장은 실리콘밸리에서 성공한 대표적인 한국인으로 메사추세츠공과대(MIT)를 나와 인텔코리아 사장, 퀀텀 아·태 지사장, 애질런트테크놀로지 사장(반도체 부문)을 지냈다. 반도체 설계 회사 ARM의 이사회 멤버이기도 하다. 지난해 9월 입사한 뒤 실리콘밸리의 혁신적 스타트업(신생기업)을 발굴해 공간과 자금, 멘토링을 지원하고 이후 지분투자와 인수를 통해 삼성 제품의 혁신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맡았다.
삼성의 사장들은 이처럼 1년 내내 핵심 인재 영입에 바쁘다. 2002년부터 사장 평가에 월별 핵심 인재 확보 실적이 반영되고 있어서다. 이 회장은 2001년 “앞으로 나 자신의 업무 절반 이상을 핵심 인력 확보에 둘 것”이라고 선언한 뒤 인재 확보가 부진한 사장을 직접 독려하기도 한다.
글로벌 인재에 대한 스카우트는 2003년 6월 이 회장이 “한 명의 천재가 10만명, 20만명을 먹여살린다”며 천재경영론을 제기한 뒤 본격화됐다. 이 회장이 2006년 “삼성만의 고유한 독자성과 차별성을 구현하라”며 창조경영론을 펼치자 인재 확보는 더욱 치열해졌다. 창조경영은 글로벌 1위에 올라 벤치마킹할 만한 기업이 없는 상황에서 미래를 독자적으로 만들어가자는 게 핵심이다. 창조경영의 결실은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 2006년 삼성 TV를 글로벌 1위로 만든 보르도TV와 2009년 금융위기 속에 초격차를 만든 LED(발광다이오드) TV, 지난해 패블릿(스마트폰+태블릿)이란 새 카테고리를 만들어낸 갤럭시노트 등이 그 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