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봄, 나를 깨우자] 밥벌이 지겨워도…일 없어지면 불안한데
입력
수정
인생학교돈은 무엇인가. 단지 생존을 위한 수단인가. 행복을 위한 절대적인 조건인가. 일상적으로 맞닥뜨리는 섹스의 난관이나 욕정에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인생의 3분의 2를 보내는 일터에서 어떻게 행복과 충만감을 찾을 것인가.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 알랭 드 보통을 중심으로 이런 문제에 대해 답을 제시하고 삶의 의미와 기술에 대해 강연과 토론, 멘토링, 커뮤니티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해 2009년 영국 런던에서 시작한 게 ‘인생학교’ 프로젝트다.
알랭 드 보통 외 지음 / 정미나 외 옮김 / 쌤앤파커스 / 전 6권 / 7만 2000원
《인생학교》시리즈(전6권, 쌤앤파커스)은 이 프로젝트를 책으로 엮은 것. 돈, 일, 정신, 섹스, 세상, 시간 등의 주제에 관해 탐구하고 이를 위한 철학적 사유의 길를 제시한다.《인생학교》 ‘돈’ 편에서 저자 존 암스트롱은 자신의 경제 상황까지 솔직하게 예로 들며 독자와 소통한다. 소유욕, 과시욕, 공포, 성취감 등 돈에서 나오는 기본적 정서와 돈을 통한 정복 심리 등 돈의 폭력적 성격을 함께 생각하며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관점을 제시한다.
로먼 크르즈나릭은 사람들의 삶에서 3분의 2의 시간을 차지하는 ‘일’에 대해 이야기한다. 사람들은 직업이 없을 때 1분 1초를 불안해 하다가도, 막상 일을 시작하면 밥벌이를 지겨운 족쇄처럼 느낀다. 저자는 이런 일의 딜레마를 철학적으로 풀어주며 ‘천직’에 이르는 길을 보여준다.
‘유쾌한 현자’ 알랭 드 보통은 섹스에 관해 철학적으로 고찰한다. ‘연애학 박사’라는 별칭답게 연애의 점진적 발전 단계를 따라가며 섹시함의 본질을 밝히고 그 속에 담긴 개인의 내밀한 심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필립파 페리는 ‘정신’ 편에 온전한 정신으로 사는 법을, 존 폴 플린토프는 ‘세상’ 편에 작은 실천으로 세상을 바꾸는 법을 썼다. 톰 체트필드는 ‘시간’ 편에서 디지털 시대에 살아남는 시간 개념을 들려준다.
박한신 기자 hansh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