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조직법 타결] 새 정부 출범 3주 '헛바퀴'…모두 패자였다
입력
수정
朴의 고집에 새누리는 무기력, 야당은 발목잡기만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46일간 표류한 끝에 최종 타결됐다. 정치 실종이 주된 원인이다. 박근혜 대통령의 원안 고집과 청와대 눈치만 살피는 새누리당의 무기력, 대선 패배에도 불구하고 새 정부에 협조하지 않은 민주통합당의 발목 잡기 등 ‘삼박자’가 작용한 결과다.
박 대통령은 시종 종합유선방송(SO) 부문의 미래창조과학부 이관은 타협 대상이 아니라고 못 박았다. 박 대통령이 ‘마이 웨이’를 고집하면서 협상의 여지는 좁아졌다. 새누리당 지도부는 박 대통령 눈치 보기에만 급급했다. 대치 상황이 길어지자 여권 내에서 다른 목소리가 나오는 등 ‘자중지란’ 양상까지 벌어졌다.민주당 상황도 비슷했다. 박 대통령과 ‘맞짱’을 뜨겠다며 물러서지 않았다. 청와대와 야당 간 대립이 심해지면서 정국은 경색됐다. 대통령과 야당 대표의 회동조차 이뤄지지 못했다. 정부조직법 협상은 한국 정치의 단면을 보여준다.
이한구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한 것은 지난 1월30일이다. 이 개정안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1월15일 처음 발표했다. 여야 협상은 2월4일 시작됐다. 이후 46일이 지난 17일까지 여야는 협상 결렬과 재개를 되풀이했다.
최대 쟁점은 방송·통신 기능을 미래창조과학부로 옮기느냐 방송통신위원회에 남기느냐는 것이었다. 첫 여야 회담에서 민주당은 16개의 요구사항을 제시했다. 여야 협상이 이어지며 이 쟁점은 6개로 줄었고, 최종적으로 하나만 남았다. 방통위가 맡은 방송 기능의 미래부 이관이다. 새누리당은 방송에 대한 진흥(광고)과 규제(인·허가) 등을 미래부로 옮기자고 했고, 민주당은 방통위에 남겨둬야 한다고 맞섰다.
여야는 팽팽하게 맞서며 정부조직법의 1~3차 처리시한(2월14·18·26일)을 모두 넘겼다. 협상이 지지부진하자 지난 4일 박 대통령은 대국민담화에서 조직법의 원안 고수 입장을 선언했다. 이에 민주당이 반발하며 2월 임시국회 마지막 날인 5일에도 정부조직법은 본회의에 오르지 못했다.
6일 박기춘 민주당 원내대표는 △공영방송 이사 추천시 방통위 재적위원 3분의 2의 찬성으로 의결 △언론 청문회 즉시 실시 △김재철 MBC 사장 사퇴 등 ‘3대 조건’을 제시했지만 새누리당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민주당은 내부 갈등을 겪어야 했다. 논란이 길어지면서 국회의장의 직권상정을 제한하고 여야 합의가 없으면 법안 처리를 어렵게 한 국회법 개정안(국회선진화법)을 고쳐야 한다는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여야는 물밑협상을 이어갔지만 입장 차를 좁히지 못했다.
15일 박 대통령과 여당 지도부가 만났지만 역시 ‘원안 고수’라는 박 대통령의 뜻만 확인해 협상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 결국 심야 협상을 되풀이한 끝에 17일 최종 합의에 도달했다. 박근혜 정부는 46일 만에 정상 궤도에 오르게 됐다.
김정은/이현진 기자 likesmi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