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형주택 인기 꺾이나
입력
수정
2월 건축허가 물량부동산시장 침체로 지난달 주택건설 인허가 실적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급 과잉 우려가 불거지고 있는 도시형생활주택의 인허가 물량이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작년보다 45% 줄어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전국에서 총 2만1591가구(수도권 7981가구, 지방 1만3610가구)가 주택건설 인허가를 받았다고 24일 발표했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32.7% 감소한 수준이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인허가 물량이 45.4% 줄었고, 지방도 22.1% 감소했다.유형별로는 아파트 인허가 물량이 1만2899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22.6% 줄었다. 아파트 외 주택(8692가구)도 43.7% 감소했다. 특히 도시형생활주택의 인허가 물량은 3809가구로 작년 2월(7031가구)에 비해 절반 가까이 줄었다.
지난달 아파트 등 공동주택 분양 물량은 전국 1만5556가구(수도권 6588가구, 지방 8968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7.0% 감소했다. 동탄2신도시 3차 동시분양 등으로 수도권 물량은 78.9% 증가한 반면 지방 물량은 31.2% 줄었다.
지난달 전국의 주택 착공 실적은 3만621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3.1% 증가했다. 동탄2신도시, 남양주 등지에서 대규모 착공이 이뤄진 수도권은 60% 증가했고, 지방은 25.0% 감소했다. 지난달 전국에서 준공된 주택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1.9% 증가한 2만7103가구를 기록했다.한편 다음달부터 6월까지 전국에서 입주하는 아파트는 총 4만8067가구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2만2612가구(서울 4276가구), 지방 2만5455가구 등이다. 최근 수요가 많은 전용 85㎡ 이하 중소형 주택이 76.3%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