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고채 금리 8개월來 최대 0.13%P 하락…기준금리 '최소 2회 인하'에 베팅

국고채 3년물 금리가 8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하락하며 사상 최저 기록을 다시 썼다. 한국은행이 경기 부양을 위해 기준금리를 낮출 것이란 기대감이 강해진 때문이다.

28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이날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연 2.45%로 최종 호가됐다. 기존 사상 최저인 전날의 2.58%보다 0.13%포인트 급락했다. 이 같은 낙폭은 한국은행의 ‘기습적인’ 금리 인하가 이뤄졌던 지난해 7월12일(-0.22%포인트) 이후 최대다.국고채 5년물 금리는 이날 연 2.51%로 전날보다 0.14%포인트 하락했다. 마찬가지로 지난해 7월(-0.24%포인트) 이후 가장 낙폭이 컸다. 정부가 올해부터 지표채권으로 지정한 국고채 10년물 금리도 연 2.73%로 0.13%포인트 내려 사상 최저치를 경신했다.

공동락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정부가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크게 낮추면서 한국은행이 경기 부양을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기대감을 키웠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는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0%에서 2.3%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

글로벌 안전자산 선호 현상도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공 연구원은 “이탈리아 연립정부 구성이 난항을 겪고 있다는 소식이 미 국채를 비롯한 안전자산 선호현상을 높이는 쪽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지난 27일 연 1.851%로 0.055%포인트 떨어졌다.이날 금리는 한은이 두 차례 이상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전망을 반영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오창섭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전날까지 채권 금리는 이미 한 차례 이상의 기준금리 인하를 반영하고 있었다”며 “이날 금리 하락은 금리 인하폭이 예상보다 클 것이란 기대가 반영된 것”이라고 말했다. 한은은 이달까지 5개월째 기준금리를 연 2.75%로 동결하고 있다. 기준금리 결정을 위한 다음 금융통화위원회는 내달 11일에 열린다.

한편 국고채 20년물은 이날 0.12%포인트 떨어진 연 2.95%, 30년물은 0.11%포인트 하락한 3.07%를 나타냈다. 20년물은 사상 최저, 30년물은 지난해 11월2일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태호 기자 th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