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스트레스?…흡연·음주율 전국 최고
입력
수정
지역사회건강조사…제주·강원 비만율 높아세종시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음주·흡연 남성 비중이 가장 높은 곳으로 조사됐다. 비만 인구 비중은 제주도와 강원도가 높았다.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전병율)는 전국 253개 기초자치단체의 만 19세 이상 성인(시·군·구별 평균 9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2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2일 발표했다. 시·도 단위에서 남성현재흡연율은 세종시가 51.3%로 가장 높았으며 강원(49.9%), 제주(49.4%)가 그 뒤를 이었다. 시·군·구 기초자치단체 기준으로는 충북 음성군(60.4%)이 1위를 차지했다. 남성현재흡연율은 평생 5갑(100개비) 이상 흡연한 사람으로서 현재 흡연하는 남자 비율을 뜻한다. 여성흡연율은 수치가 너무 낮아서 조사에서 빠졌다.
세종시는 남녀를 모두 포함한 성인고위험음주율에서도 20.4%로 가장 높게 나왔다. 시·군·구 기준으로는 속초시(28.7%)가 가장 높았다. 성인고위험음주율은 최근 1년 동안 음주한 사람 가운데 주 2회 이상 남성은 한 번의 술자리에서 7잔 이상, 여성은 5잔 이상 마시는 사람의 비율이다.
의료계 전문가들은 세종시가 흡연율과 음주율에서 모두 1위를 차지한 것에 대해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으나 정부 청사 이전에 따른 스트레스 증가가 주요 원인이 아니겠느냐”고 해석했다. 세종시가 위치한 충남 연기군은 이전에도 흡연율과 음주율이 평균 이상이었지만 1위에 오른 건 이번이 처음이다.성인비만율은 시·도 기준으로는 제주(30.1%)와 강원(26.7%)이 높게 나왔다. 시·군·구 기준으로는 제주시 서부(33.5%)와 전남 영광군(32.4%), 서귀포시 서부(31.6%)가 비만 인구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걷기실천율은 강원(28.4%), 경북(31.3%), 제주(34.4%)가 낮고 서울(52.1%), 대전(48.2%), 부산(46.9%)이 높았다.
강양화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건강조사팀장은 “지자체별로 건강행태 실천을 제고할 수 있는 보건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지역 간 격차를 줄여 나가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병근 기자 bk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