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엑스몰 내부도…지도검색의 진화
입력
수정
공항·백화점 등 실내 안내공항 백화점 지하철역 등 복잡한 실내 공간에서 길을 안내해주는 실내지도 검색 시대가 열린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삼성 노키아 퀄컴 등 세계 유수 정보기술(IT) 업체들이 저마다 관련 기술 개발에 나서고 있어 시장 선점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NHN, 모바일 서비스 시작
실내지도는 인천공항이나 코엑스 같은 복잡한 대형 건물의 실내를 보여주는 지도다. 입주한 매장은 물론 엘리베이터 화장실 출구 등 각종 실내 정보를 담고 있다. 이용자들은 사람들로 붐비는 대형 쇼핑몰 안에서도 길을 헤매지 않고 원하는 장소를 바로 찾아갈 수 있게 된다. 조원영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원은 “최근 축구장의 40배에 이르는 대형 복합단지가 많아지면서 실내 길찾기에 대한 사람들의 요구도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단순 길찾기 외에도 실내지도 서비스는 건물 안에서 장애인의 길 안내를 도와주고, 응급 상황 시 구조대원이 휴대폰 위치를 확인해 바로 환자가 있는 곳을 찾을 수 있는 등 활용할 여지가 많다는 설명이다.
국내에선 NHN이 지난해 12월 PC용으로 실내지도 서비스를 선보인 데 이어 지난달 18일 모바일에도 이를 적용했다. 서울시청 지하쇼핑센터, 명동역 지하쇼핑센터, 코엑스, 부산 남포동 지하도상가 등 전국 78개 대형 쇼핑몰과 지하상가의 실내지도를 구축했다.
한국무역정보통신(KTNET)도 지난해 ‘마이 코엑스’라는 모바일 앱(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내놓고 실내지도 서비스를 시작했다. 자체 개발한 와이파이 기반 실내위치인식시스템을 이용해 코엑스 내 각종 매장을 안내해준다. 구글은 국내에선 아직 서비스를 내놓지 않았지만 미국 영국 일본 싱가포르 등 13개국에서 1만개의 실내지도를 구축해 서비스하고 있다. 하지만 실내에서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를 잡아내지 못하는 점은 실내지도 서비스가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