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사이트] 또 '실적 논란' 셀트리온, "3000억 재고 논란, 6월이면 결론날 것"
입력
수정
서정진 회장에게 듣는다▶마켓인사이트 4월10일 오후 2시41분
유럽시장 판매 승인 절차
10개월 재고 축적 불가피…부당 지원? 동의 없인 불가
코스닥 ‘대장주’ 셀트리온은 지난해 매출 3489억원, 영업이익 1970억원의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고 두 달 전 발표했다. 그런데 셀트리온이 생산하는 바이오시밀러(단백질 복제약) 판매를 전담하는 셀트리온헬스케어가 지난 주말 금융감독원에 감사보고서를 제출한 뒤 시장에서 ‘실적 논란’이 일고 있다. 셀트리온헬스케어가 셀트리온과 달리 작년 매출 338억원, 영업손실 223억원으로 사상 최대 적자를 냈기 때문이다.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사진)은 10일 인천 송도 셀트리온 본사에서 기자와 만나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의 실적 괴리는 항체 의약품 바이오시밀러 산업의 특수성으로 발생한 일시적 현상”이라고 주장했다.
○2981억원 ‘재고 논란’
셀트리온 실적 논란은 특이한 지배구조와 관련이 있다. 셀트리온은 바이오시밀러 연구·개발(R&D)과 생산을 맡고, 셀트리온헬스케어는 국내외 제품 판매를 전담한다. ‘바늘과 실’ 같은 관계지만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할 의무가 없다.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 모두 서정진 회장이 각각 지배하고 있어서다. 일각에선 사실상 한몸과 마찬가지인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 두 회사의 매출이 10배 가까이 차이가 나는 데 의혹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의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셀트리온은 지난해 셀트리온헬스케어에 바이오시밀러 제품 3273억원어치를 팔았지만 셀트리온헬스케어는 해외 시장에서 셀트리온 제품을 하나도 팔지 못했다. 국내 판매사인 셀트리온제약에 납품한 338억원이 매출의 전부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셀트리온 제품 대부분을 재고로 쌓아두었다. 재고자산은 지난해에만 2981억원 증가했다. 서 회장은 “작년 7월 국내에서 램시마(얀센의 관절염 치료제 ‘레미케이드’의 복제약) 판매 승인이 남에 따라 러시아를 비롯해 브라질 필리핀 등 일부 국가에선 셀트리온헬스케어가 직접 판매할 수 있게 됐다”며 “올해 이들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지난해 현지 법인을 곳곳에 세우고 자체 재고물량을 쌓아둔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는 “항체 의약품은 재고를 만들어놔야 판매 승인 절차를 밟을 수 있고 승인 절차만 6개월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평균 9~10개월가량의 제품 재고를 쌓아야 하는 산업 특수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주주 동의 없인 자금집행 못해”특수관계사인 셀트리온헬스케어의 지원으로 셀트리온 실적이 부풀려진 것 아니냐는 일각의 의심에 대해선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었다. 서 회장은 “셀트리온헬스케어의 주요 주주인 JP모간 사모펀드 원이쿼티파트너스(OEP) 등의 동의가 없으면 셀트리온에 자금을 집행할 수 없다”며 “현재까지 셀트리온에 집행한 자금이 5000억원에 이르는데 부당 지원이라면 주주들이 가만히 있겠느냐”고 했다.
서 회장은 “국가별 판매계획을 3개월마다 업데이트해 주주사들과 긴밀하게 논의하고 자금을 집행한다”며 “올해 셀트리온헬스케어의 해외 판매가 본격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M&A 제안 많아”
바이오시밀러 최대 시장인 유럽에서 6월 램시마 판매 승인이 나면 모든 의혹이 가실 것이라고도 했다. 그는 “유럽의약품청(EMA)이 6월에 승인할 것으로 낙관하고 있다”고 말했다. “만에 하나 유럽 승인이 거절될 경우 모든 짐은 혼자 지고 가겠다”고 했다. 서 회장은 “6월에 승인이 나지 않으면 셀트리온헬스케어는 리스크(위험)에 노출되지만 셀트리온 투자자에게는 큰 피해가 없을 것”이라며 “책임은 혼자 지고 셀트리온은 글로벌 기업에 매각하면 된다”고 했다. “지금도 셀트리온을 사고 싶다고 제안하는 글로벌 제약업체들이 줄을 섰다”는 말도 했다.
조진형 기자 u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