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거래 피하자" 계열사 합병 늘 듯
입력
수정
'일감 몰아주기' 규제 강화…증시 영향은
SK C&C-엔카 합병 주목…지주사 설립 지분이동 예상
![](https://img.hankyung.com/photo/201304/01.7359068.1.jpg)
논란에도 불구하고 일감몰아주기 규제를 강화하면 일감을 주고받는 상장 기업들이 내부거래 비중을 낮추기 위해 인수·합병(M&A)에 나서고 과징금 납부를 위해 배당을 늘릴 것이란 의견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지주회사 설립에 필요한 활발한 지분이동 가능성도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경쟁업체들은 반사이익을 누릴 것으로 예상했다. 상호출자 제한 대기업 집단에 대한 ‘일감 몰아주기’ 규제는 이미 관련 기업 간 M&A로 이어지고 있다. SK C&C가 지난달 22일 자동차매매 자회사 엔카네트워크를 흡수합병(합병기일 내달 31일)한다고 공시한 것이 첫 사례라고 증시 전문가들은 해석했다. 정보기술(IT) 외 사업부문 확대와 해외사업 본격화라는 목적도 있으나 내부거래 비중을 낮출 수 있어서다. 증권업계에선 두 회사의 합병으로 SK C&C의 계열사 내부거래 매출 비중이 작년 64.1%에서 올해 45.0%로 크게 낮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100% 자회사여서 주식매수청구권 부여, 합병승인 주주총회 등의 절차 없이 빨리 추진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해당 기업으로선 당장 계열사 물량을 줄이기도 쉽지 않다. 따라서 M&A를 통해 내부 거래비중을 줄이는 방법을 선택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예상했다. 김동양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오너투자기업의 경우 상당수가 계열사 간 거래를 하지 않으면 기업 존립 자체가 어렵다”며 “외부 거래처를 찾아 매출을 늘리는 것보다 M&A를 선택하는 게 빠른 문제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한편으론 해당 기업들이 내부거래 비중을 가능한 수준까지 줄이는 과정에서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는 업종과 업체를 따져 투자 기회를 잡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대주주 일가의 지분율과 내부거래 비중이 동시에 높은 계열사들은 주로 시스템통합(SI) 건설업 광고업 물류업 등에 몰려 있다. 이들 기업 중 상장기업은 SK C&C, 현대글로비스, GS, 코오롱 등으로 많지 않지만 경쟁 상장사들은 수주 확대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또 일감을 받던 기업의 지배주주들이 앞으로 증여세, 과징금 등을 물어야 하기 때문에 이들 기업의 배당이 크게 늘 수 있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다.
지주회사 설립이 늘어나 지분 이동이 활발해질 수 있는 점도 이목을 끈다. 오는 7월부터 최대주주 관계인이 지분 3% 이상 보유하고 내부매출 비중이 30%가 넘는 기업에 대해 증여세가 부과된다. 그런데 상속·증여세법에선 지주회사의 자회사가 일감을 받는 경우 자회사 손자회사 및 증손회사는 최대주주와의 특수관계에서 제외해주는 특례조항이 있다. 김준섭 이트레이드증권 연구원은 “자연스럽게 일감 몰아주기 과세 대상에서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에 지주회사 설립과 지분이동 증가에서 투자기회가 열릴 수 있다”고 했다.
장규호 기자 daniel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