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촨성 지진, 룽먼 단층 움직임 때문…5년전 발생 가능성 경고해
입력
수정
중국 쓰촨(四川)성 야안(雅安)시에서 발생한 규모 7.0 강진은 쓰촨성을 가로지르는 룽먼(龍文)산 단층이 움직였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21일 중국지진센터(CENC)에 따르면 이번 지진은 룽먼산 단층 남단에서 일어났다. 룽먼산 단층은 쓰촨성을 북동-남서 방향으로 관통하는 전체길이 약 500㎞의 활성단층이다. 이 단층은 쓰촨분지와 칭창(靑藏)고원 사이에 있고 폭은 약 70㎞에 달한다.
지난 2008년 8만6000여 명의 사망·실종자를 낸 규모 8.0의 쓰촨성 원촨(汶川) 대지진도 이 지진대의 중북부에서 일어났다.
유라시아판에 속한 티베트 고원 지대의 지각이 쓰촨분지를 밀어붙이면서 룽먼산 단층의 활동을 잇달아 촉발하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미국 지진학자들은 5년 전 원촨 대지진 당시 규모 7 이상의 강진이 다시 발생할 가능성을 경고한 바 있다.
미국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이번 쓰촨 강진의 진앙 부근에서 최근 40년 사이 모두 4차례 규모 6 이상의 강력한 지진이 발생했다.
이번 지진이 원촨 대지진의 여진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리고 있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21일 중국지진센터(CENC)에 따르면 이번 지진은 룽먼산 단층 남단에서 일어났다. 룽먼산 단층은 쓰촨성을 북동-남서 방향으로 관통하는 전체길이 약 500㎞의 활성단층이다. 이 단층은 쓰촨분지와 칭창(靑藏)고원 사이에 있고 폭은 약 70㎞에 달한다.
지난 2008년 8만6000여 명의 사망·실종자를 낸 규모 8.0의 쓰촨성 원촨(汶川) 대지진도 이 지진대의 중북부에서 일어났다.
유라시아판에 속한 티베트 고원 지대의 지각이 쓰촨분지를 밀어붙이면서 룽먼산 단층의 활동을 잇달아 촉발하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미국 지진학자들은 5년 전 원촨 대지진 당시 규모 7 이상의 강진이 다시 발생할 가능성을 경고한 바 있다.
미국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이번 쓰촨 강진의 진앙 부근에서 최근 40년 사이 모두 4차례 규모 6 이상의 강력한 지진이 발생했다.
이번 지진이 원촨 대지진의 여진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리고 있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