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엔저 비명'…더 팔았는데 덜 벌었다
입력
수정
도요타는 가격 낮춰 숨통 조여오는데“회사 내 분위기가 심상치 않습니다. 다들 바짝 긴장하고 있어요.”
노조 7주째 주말 특근 거부…생산량 '뚝'
내수마저 침체…"하반기가 진짜 위기"
현대자동차그룹 경영진에게 ‘24시간 비상대기’ 명령이 떨어졌다. 정몽구 회장은 최근 수시로 계열사 사장들을 불러 직접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현대차의 한 고위 임원은 “정 회장이 이달 초부터 매일 출근과 동시에 전날 세계 판매 현황 취합 자료를 꼼꼼하게 체크한다”며 “수시로 임원들을 소집해 엔저 리스크와 수익성 개선 대책, 생산차질 보전 방안 등을 논의한다”고 전했다. ◆1분기 판매량 늘었지만 이익은 줄어
23일 한국경제신문이 단독 입수한 ‘현대·기아차 1분기 글로벌 판매실적 및 시장점유율’ 자료에 따르면 판매량이 175만6676대로 전년 동기보다 6.2% 늘었다. 글로벌 자동차 판매 증가율(1.6%)보다 4배가량 높다. 국내(-3.2%)와 북미시장(-3.4%) 판매량이 줄었지만 중국(34.9%), 브라질(68.1%) 판매가 크게 증가하면서 전체 실적을 끌어올렸다.
반면 경쟁업체인 일본 도요타의 판매량은 감소했다. KB투자증권이 주요 43개국 판매량을 집계한 결과 도요타는 1분기에 168만4313대를 팔아 전년 동기보다 3.6% 감소했다. 판매량만 따지면 현대·기아차는 위기가 아닌 셈이다. 하지만 1분기 매출을 보면 얘기가 달라진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도요타와 혼다, 닛산 등 일본 업체들의 1분기 영업이익이 20~60% 늘어난 것으로 추정됐다. 도요타는 판매량 감소로 매출은 10% 줄었지만 순이익(90.6%)은 두 배가량 급증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비해 현대·기아차는 순이익이 각각 8.3%, 25.4% 줄어든 것으로 추산됐다. 신정관 KB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팀장은 “현대·기아차가 판매량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엔저와 내수 침체, 노조문제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주말 특근 거부로 생산 ‘삐그덕’
현대·기아차 노조는 지난달 초부터 7주 연속 주말 특근을 하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한 생산 차질은 4만8000여대, 매출 손실은 1조원(9500억원)에 이른다. 주간 연속 2교대제 전환 후 시간당 생산량(UPH)은 현대차가 402에서 432로, 기아차는 308.3에서 338.3으로 각각 높아졌지만 주말 특근을 하지 않으면 늘어나는 주문량을 감당할 수 없다. 현재 싼타페와 맥스크루즈, 그랜저 등 현대차의 인기 차종들을 인도받기 위해선 최장 4개월을 기다려야 한다. 현대차 관계자는 “생산 차질은 국내공장 생산 감소→고정비 상승→실적 악화의 악순환을 가져온다”며 “협력사 중 영세업체들은 주말 특근을 해야 수익성을 맞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노동계 관계자는 “올해는 현대차의 임금 및 단체협상이 예정돼 있어 강성 노조인 현 집행부가 회사 측과 쉽게 타협하지 않을 것”이라며 “당분간 특근 거부로 인한 생산 차질이 지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하반기에 진짜 위기 온다”
회사 밖으로 눈을 돌리면 ‘엔저 쓰나미’가 몰려오고 있다. 일본 아베 정권의 적극적 엔저정책을 등에 업은 일본 업체들은 앞다퉈 차값을 내리며 미국은 물론 국내시장에서도 몸집을 불려나가고 있다. 그 결과 올 1분기 북미 시장에서 현대·기아차의 점유율은 작년 1분기보다 0.8%포인트 줄어든 8.3% 그쳤다. 도요타는 0.2%포인트 늘어난 14.0%를 기록하며 격차를 벌리고 있다. 국내에서도 도요타가 고급 브랜드 ‘렉서스’의 주력 차종인 ‘ES 300h’ 가격을 10.3%(570만원) 내리는 등 내수 침체로 고전하는 현대·기아차의 숨통을 조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엔저 충격이 2분기부터 본격화해 하반기에는 진짜 위기가 올 수 있다고 경고한다. 최중혁 신한금융투자 책임연구원은 “현대·기아차 판매량은 중국과 브라질을 기반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겠지만 생산 차질과 엔저 현상이 지속된다면 수익성은 나빠질 수밖에 없다”며 “노사 갈등 해결과 생산성 극대화 등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