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주목할 만한 한반도와 주변 움직임

최용해 북한 인민군 총정치국장이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특사 자격으로 중국을 방문했다고 한다. 어제 왕자루이 당 대외연락부장을 만났으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예방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외신들은 전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다음달 중국을 방문하고 미국 오바마 대통령도 시 주석과 내달 7~8일 미·중 정상회담을 하기로 예정된 상황에서 나온 소식이다. 아베 일본 총리도 지난주 북한에 특사를 파견했다. 김정은의 핵위협과 함께 그동안 얼어붙기만 했던 한반도 정세에 무언가 변화의 조짐이 보이는 상황이다.

가장 관심을 끄는 것은 중국이다. 중국은 전통적으로 북한의 전략을 지지하거나 이해하는 틀 안에서 한반도 정책을 펴왔다. 그러나 북한이 장거리 로켓을 발사하고 올해 2월 3차 핵실험을 강행한 뒤부터는 여러 경로를 통해 공개적으로 북한을 압박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시 주석은 지난달 북한에 대해 “자국만의 이익을 위해 지역과 세계 전체를 혼란에 빠트려선 안 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특히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안에 따라 중국 내 조선무역은행 계좌를 폐쇄하고 기타 금융거래를 중단시켰다. 중국의 대북정책에 미세한 변화 조짐이 감지되는 상황으로 진전된 것이다. 바로 이런 새로운 조건 하에서 여러 외교적 접촉들이 얽혀드는 것이 지금의 국면이다. 물론 북한으로서는 김정은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북한 군부 고위 인사를 특사로 파견해 중국의 이해를 구하고 양국 간 전통적 유대를 유지 복원하려고 시도할 것이다. 더욱이 최룡해는 3차 핵실험과 이후 한반도의 위기국면을 주도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북한이 무력위협 전술을 계속할 것인지 여부가 이번 기회에 저울질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여하튼 북한은 국제사회의 제재를 풀고 지금의 교착 상태에서 벗어날 돌파구를 찾으려고 시도할 것이 틀림없다.

한반도를 둘러싼 일촉즉발의 위기상황이 해소될 것인지는 다음달 박 대통령의 방중과 미·중 정상회담 등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회담들에 달려 있다. 지금이야말로 북한 김정은 정권이 효과도 없는 공갈협박 전술에서 벗어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