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자회사 만들어 모기업과 경쟁시킨다는 KTX 정책
입력
수정
KTX의 경쟁도입 방침이 코레일의 독점 해소도, 경영 효율화도 아닌 희한한 방식으로 변질돼 버렸다. 국토교통부는 수서발 KTX 노선의 운용을 코레일의 자회사를 만들어 맡길 방침이라고 한다. 자회사는 코레일이 30%를 출자하고 나머지는 국민연금 등 연기금에 배정하되, 민간자본은 완전 배제한다는 것이다. 철도노조와 야당의 소위 ‘KTX 민영화 반대’ 시비로 말썽이 날까 우려한 결과 아예 ‘민(民)’자를 빼버린 국토부다. KTX에 경쟁을 도입해 요금을 15% 이상 낮추고, 선로 임대수입으로 고속철 부채를 해소하며, 코레일의 방만한 경영을 효율화하는 등의 당초 목표는 사라지고 말았다.
그동안 KTX는 잦은 고장, 사고에다 심지어 역주행까지 벌어져 ‘고장철’이란 오명을 들어왔다. 그럼에도 요금은 야금야금 올라 서울~부산 간 요금이 항공요금의 80%에 이를 정도다. 게다가 코레일은 10조8000억원의 부채에다 연간 5000억원 이상 적자에도 인력은 초과상태다. 코레일의 빚을 국민혈세로 메워야 하기에 독점의 폐해와 비효율을 개선하자는 게 KTX 경쟁도입의 취지였다. 그러나 철도노조는 KTX 민간위탁을 민영화로 호도했고 야당이 가세해 정치 쟁점화하면서 된통 꼬여버렸다. 국토부는 산하기관(코레일)의 여론 선전전에 끌려다닌 끝에 자회사 설립이라는 희한한 방안을 내놓은 것이다.
한 해 5000만명이 이용하는 KTX는 코레일 3만 임직원의 소유물이 결코 아니다. 5000만 국민의 자산이다. 그렇기에 끊임없이 서비스와 안전을 개선하고 보다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게끔 혁신해야 할 의무가 있다. 하지만 코레일은 ‘지금 이대로’만을 외치고, 국토부는 시끄럽지 않은 ‘쉬운 길’을 찾기에 급급했다. 민주당도 민생을 우선한다면 요금이 싸지는 KTX 경쟁도입을 진영논리에 빠져 정치 쟁점화 할 일이 아니었다. 독점 공기업이 버티면 정부가 물러선다는 아주 나쁜 선례를 남겼다.
그동안 KTX는 잦은 고장, 사고에다 심지어 역주행까지 벌어져 ‘고장철’이란 오명을 들어왔다. 그럼에도 요금은 야금야금 올라 서울~부산 간 요금이 항공요금의 80%에 이를 정도다. 게다가 코레일은 10조8000억원의 부채에다 연간 5000억원 이상 적자에도 인력은 초과상태다. 코레일의 빚을 국민혈세로 메워야 하기에 독점의 폐해와 비효율을 개선하자는 게 KTX 경쟁도입의 취지였다. 그러나 철도노조는 KTX 민간위탁을 민영화로 호도했고 야당이 가세해 정치 쟁점화하면서 된통 꼬여버렸다. 국토부는 산하기관(코레일)의 여론 선전전에 끌려다닌 끝에 자회사 설립이라는 희한한 방안을 내놓은 것이다.
한 해 5000만명이 이용하는 KTX는 코레일 3만 임직원의 소유물이 결코 아니다. 5000만 국민의 자산이다. 그렇기에 끊임없이 서비스와 안전을 개선하고 보다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게끔 혁신해야 할 의무가 있다. 하지만 코레일은 ‘지금 이대로’만을 외치고, 국토부는 시끄럽지 않은 ‘쉬운 길’을 찾기에 급급했다. 민주당도 민생을 우선한다면 요금이 싸지는 KTX 경쟁도입을 진영논리에 빠져 정치 쟁점화 할 일이 아니었다. 독점 공기업이 버티면 정부가 물러선다는 아주 나쁜 선례를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