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칼럼] 나를 잊지 마세요, 물망초!
입력
수정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밥 한 끼가 옥수수 13알이었어요. 배고파서 쥐까지 먹었습니다. 70%가 그곳에서 굶어죽었어요.” 평북 의주의 제7포로수용소(천마포로수용소)에 2년 동안 갇혔다가 1953년 정전협정으로 귀환한 국군포로들의 증언이다. 6·25 때 납북된 국군포로와 실종자 8만2318명 중 1953년에 돌아온 사람은 8333명뿐이다. 나머지는 어떻게 됐을까.
팔순이 넘은 노병들은 “그때 국군포로들이 수용소 뒤편에 무더기로 묻혔다”며 “지금이라도 정부가 국군포로를 찾고 그들의 시신을 발굴하겠다면 우리 증언부터 채록하라”고 말한다. 전쟁 중 무공훈장까지 받은 한만택 씨는 1953년 포로로 잡혀 북에 억류됐다가 51년 만인 2004년 경남 진주에 있는 가족에게 편지를 보내 살아 있다는 사실을 알렸다. 그해 12월27일 밤 두만강을 건너 중국 옌지로 탈출한 그는 중국 공안에 붙잡혀 북송됐고 막노동에 시달리다 2009년 숨졌다. 최근 이 소식을 접한 가족들은 “당시 영사관에 도움을 청했지만 듣지도 않았다”며 국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우리 정부는 1994년 국군포로 출신 조창호 소위가 귀순하기까지 포로명단도 제대로 정리하지 않았다. 2000년 6·15 남북정상회담 1년 후 당시 김대중 대통령이 비전향장기수 64명을 전원 북으로 보내면서 ‘햇볕정책’을 썼지만, 돌아온 건 “국군포로는 없다”는 말뿐이었다. 정부가 손을 놓고 있는 사이 사선을 넘어 탈출한 포로가 80명이나 되고 그 중 51명이 살아 있다.
제대로 된 국가라면 포로 송환을 위해 모든 외교력을 동원하고 돈을 써서라도 자국민을 데려와야 한다. 미국 정부 산하의 합동전쟁포로실종자사령부는 지난해 북한에서 발굴한 미군 유해 400여구를 송환하고 이 중 한국군 유해 12구를 우리나라로 보내줬다. 이 과정에서 2800만달러를 썼다고 한다. 유해 한 구당 7만달러였다. 북한에 있는 생존 포로는 500여명으로 평균 연령이 80세를 넘어서고 있다. 시간이 없다. 다행히 국군포로 국내 송환 운동을 펼쳐온 물망초재단(이사장 박선영 전 국회의원)이 지난달 국군포로신고센터를 열고 명단 작성과 생사 확인에 나섰다고 한다. 납북인사가족협의회 등과 함께 국군포로·피랍자들을 상기하자며 벌여온 ‘물망초 배지 달기 운동’이 결실을 맺길 빈다. 물망초의 꽃말은 ‘나를 잊지 마세요’다.
현충일인 오늘 강원 양구 도솔산 격전지에서는 6·25추념행사 ‘물망초 예술제’가 열린다고 한다. 이 자리에서 낭송될 신경림 시 ‘휴전선을 떠도는 혼령의 노래’가 더없이 애잔하다. ‘아흔아홉 고비 황천길/ 되돌아오기 몇만 밤이던가/ 울고 떠돌기 몇만 날이던가…’ 포화가 멈춘 지 벌써 60년이다.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