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 늪에 빠진 대기업] '퇴출'보다 '기업 살리기'에 무게중심…건설업 20곳 포함…대부분 시행사

대기업 40곳 구조조정 수술대에

오성엘에스티·웅진에너지·드림라인 등 워크아웃 대상
올 대기업 정기 신용위험 평가 결과 구조조정 대상 기업은 오성엘에스티 웅진에너지 드림라인 등 40개로 작년보다 네 곳 늘었다. 건설업종의 경기 침체가 지속된 데다 최근 실적이 나쁜 철강 화학 시멘트 등으로 세부 평가 대상을 확대한 결과다.

하지만 지난해와 비교하면 질적으로 차이가 난다. 작년엔 구조조정 대상 36곳 중 21곳이 법정관리 절차를 밟게 되는 D등급이었던 데 비해 올해는 40곳 중 27곳이 워크아웃을 통해 경영정상화를 추진할 대상으로 선정됐다. 금융당국과 은행들이 ‘퇴출’보다는 ‘회생’에 무게를 둔 것으로 평가된다. ◆워크아웃 대상이 27개

구조조정 대상 업체 수는 2009년 79곳, 2010년 65곳, 2011년 32곳으로 해마다 줄다가 지난해 36곳으로 늘었다. 올해는 40곳으로 확대됐다. 취약 업종이 당초 건설 조선 해운에서 철강 석유화학 시멘트 등으로 확대돼 전체 구조조정 대상이 소폭 증가했다.

올해는 주로 법정관리 절차를 밟게 되는 D등급보다는 워크아웃을 통해 경영정상화 기회를 얻을 수 있는 C등급 업체가 많다. 지난해 C등급이 15곳, D등급이 21곳이었던 것에 비해 올해는 C등급 27곳, D등급은 13곳이다. 금융감독원은 이번 신용위험 평가의 목적이 ‘퇴출’이 아닌 ‘옥석 가리기’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를 위해 워크아웃 대상 업체에 대해서는 워크아웃을 개시하기 전에 은행이 대출을 회수하지 못하도록 하는 한편, 구조조정 대상에 오른 기업의 협력업체 피해도 최소화하기로 했다.

◆건설업계 ‘긴장’

구조조정 대상의 절반(20곳)을 차지하는 건설업계는 잔뜩 긴장하고 있다. 그나마 C등급과 D등급을 받은 곳이 주로 시행사여서 다소 안도하는 분위기다. 다만 개발사업을 추진한 시행사가 C·D등급을 받으면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사업에 연대 보증을 선 건설사도 자유로울 수 없는 점이 문제다. 한 중견 건설사 재무담당 임원은 “신용위험 평가 때마다 건설 관련 업체들의 재무 리스크가 부각되고 있다”며 “부동산 경기가 회복되지 않는 한 이 같은 추세는 반복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중견 건설업체 A사가 포함됐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업계에선 100위권 내 건설사 중 미분양이 누적됐거나 대형 프로젝트가 좌초 위기를 맞은 곳이 포함됐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주택전문업체의 한 임원은 “다수 건설사가 내부적으로 곪아 있어 언제든지 터질 수 있는 상황”이라며 “PF 부실을 해결하지 않는 한 수익의 대부분을 금융비용을 감당하는 데 투입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실적 쌓기용 구조조정 논란

이번 신용위험 평가 과정에서 금융당국이 ‘실적 쌓기용’으로 무리하게 구조조정 대상 기업 수를 늘렸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시중은행은 C등급 대상 업체를 두 곳으로 분류해 금융당국에 전달했지만 대상을 확대하라는 통보를 받고 난 후 세 곳을 C등급에 추가로 포함시켰다. 없던 구조조정 대상 기업을 일부러 만들어낸 경우도 있다. 한 시중은행은 지난달 말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 없다는 의견을 금융당국에 전달했지만 “재검토해보라”는 통보를 받고 부랴부랴 건설업 관련 시행사 한 곳을 찾아 C등급으로 분류했다.

이에 대해 금감원 관계자는 “통상 은행들이 워크아웃 또는 법정관리 대상 기업을 확정하는 순간 충당금을 더 쌓아야 하기 때문에 엄격한 평가 기준을 들이대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이 때문에 보수적인 재평가 작업을 지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류시훈/장창민/김진수 기자 bad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