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사 주총 3월 막바지 편중…"투자자 참석 저해요인"
입력
수정
최근 5년간 개최된 상장사 정기주주총회의 절반 이상이 3월 막바지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기주총 개최 시간도 오전 9시와 10시로 편중돼 투자자들의 정기주총 참석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주식회사는 매 결산기 기준일로부터 3개월 안에 정기주총을 개최해야 한다.
6일 한국예탁결제원이 2009년부터 최근 5년간 12월 결산 상장사 정기주총 일정을 분석한 결과, 총 정기주총 횟수는 8323회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3월 11~31일에 개최된 정기주총이 전체의 95.2%(7920회)에 달했다. 전체의 68.1%(5664회)가 3월 21∼31일에 집중됐다. 전체 정기주총 횟수에서 유가증권 상장사는 41.2%(3427회), 코스닥시장 상장사는 58.8%(4896회)를 기록했다.
유가증권 상장사들의 정기주총 개최일 선호도는 3월21∼31일(52.9%), 3월11∼20일(40.9%) 순이었다. 코스닥 상장사들의 경우 3월21∼31일(78.7%) 개최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요일별로는 금요일이 70.2%(5841회)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시간의 경우 상장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주총 개최 시각은 오전 9시로 49.8%(4148회)가 몰렸고, 오전 10시(3238회·38.9%)가 뒤를 이었다.예탁원 관계자는 "주총이 특정 기간과 시간에 집중되는 현상은 투자자들의 주총 참석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다수 상장사들은 정기주총에서 통상 3∼5건의 의안을 상정했다. 의안 4건이 37.6%(3128회)를 차지했고, 5건(2306회·27.7%), 3건(1813회·21.8%) 순이었다.
정기주총 개최 시 큰 비율을 차지한 의안은 재무제표 승인(8280회·24.7%), 임원보수한도 등(7971건·23.8%), 이사선임(6563건·19.6%), 정관변경(5611건·16.8%), 감사 선임(3536건·10.6%) 등이었다.
한경닷컴 오정민 기자 blooming@hankyung.com
6일 한국예탁결제원이 2009년부터 최근 5년간 12월 결산 상장사 정기주총 일정을 분석한 결과, 총 정기주총 횟수는 8323회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3월 11~31일에 개최된 정기주총이 전체의 95.2%(7920회)에 달했다. 전체의 68.1%(5664회)가 3월 21∼31일에 집중됐다. 전체 정기주총 횟수에서 유가증권 상장사는 41.2%(3427회), 코스닥시장 상장사는 58.8%(4896회)를 기록했다.
유가증권 상장사들의 정기주총 개최일 선호도는 3월21∼31일(52.9%), 3월11∼20일(40.9%) 순이었다. 코스닥 상장사들의 경우 3월21∼31일(78.7%) 개최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요일별로는 금요일이 70.2%(5841회)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시간의 경우 상장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주총 개최 시각은 오전 9시로 49.8%(4148회)가 몰렸고, 오전 10시(3238회·38.9%)가 뒤를 이었다.예탁원 관계자는 "주총이 특정 기간과 시간에 집중되는 현상은 투자자들의 주총 참석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다수 상장사들은 정기주총에서 통상 3∼5건의 의안을 상정했다. 의안 4건이 37.6%(3128회)를 차지했고, 5건(2306회·27.7%), 3건(1813회·21.8%) 순이었다.
정기주총 개최 시 큰 비율을 차지한 의안은 재무제표 승인(8280회·24.7%), 임원보수한도 등(7971건·23.8%), 이사선임(6563건·19.6%), 정관변경(5611건·16.8%), 감사 선임(3536건·10.6%) 등이었다.
한경닷컴 오정민 기자 bloom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