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硏 "디플레이션 가능성, 외환·금융 위기 이후 가장 높아"
입력
수정
국내 경기가 침체 국면(디플레이션)에 진입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11일 현대경제연구원은 '국내 디플레이션 발생 가능성 점검' 보고서에서 한국의 디플레이션 발생 가능성은 '외환위기, 금융위기 기간을 제외하면 가장 높은 수준으로,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디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과 반대의 개념으로 전반적인 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하락해 물가상승률이 마이너스(-)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2013년 현재 한국의 '국제통화기금(IMF) 디플레이션 취약성 지수'는 0.36으로 금융위기 기간 이후 가장 높다"며 "경기 둔화로 가계 소비가 줄고 기업 투자가 위축되는 등 총수요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국내 경제는 2000년대 중반까지 외환위기 시기를 제외하면 민간 투자가 민간 저축보다 많았다. 그러나 금융위기 이후 저축 초과 현상이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설비투자 증가율은 올해 2분기에 전년 동기대비 -5.1%를 기록하는 등 5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가계자산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부동산 시장은 2011년 이후 침체 상태다. 국내 주택 매매 거래량은 2010년 103만7000호에서 2011년 123만1000호로 증가했지만 지난해 100만4000호로 감소했다.
주식시장의 하루 평균 거래액은 2010년 7조4000억 원에서 2011년 9조1000억 원으로 규모가 커졌지만 지난해에는 6조9000억 원으로 급감했다.
가계부채(가계신용)는 올해 1분기 기준으로 962조원을 기록해 사상 첫 1000조 원 돌파를 앞두고 있다.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06년 112%에서 지난해 136%로 급증했다. 김 연구원은 "공기업의 부채는 증가하고 사회보장비 지출 규모는 확대되고 있으며 고령화 사회 진입 등으로 인해 재정 건전성이 위협받고 있다"며 "금융, 통화 등 경기부양을 위한 경제 정책의 효율성을 최대한 높이고 경제 전반의 생산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open@hankyung.com
11일 현대경제연구원은 '국내 디플레이션 발생 가능성 점검' 보고서에서 한국의 디플레이션 발생 가능성은 '외환위기, 금융위기 기간을 제외하면 가장 높은 수준으로,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디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과 반대의 개념으로 전반적인 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하락해 물가상승률이 마이너스(-)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2013년 현재 한국의 '국제통화기금(IMF) 디플레이션 취약성 지수'는 0.36으로 금융위기 기간 이후 가장 높다"며 "경기 둔화로 가계 소비가 줄고 기업 투자가 위축되는 등 총수요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국내 경제는 2000년대 중반까지 외환위기 시기를 제외하면 민간 투자가 민간 저축보다 많았다. 그러나 금융위기 이후 저축 초과 현상이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설비투자 증가율은 올해 2분기에 전년 동기대비 -5.1%를 기록하는 등 5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가계자산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부동산 시장은 2011년 이후 침체 상태다. 국내 주택 매매 거래량은 2010년 103만7000호에서 2011년 123만1000호로 증가했지만 지난해 100만4000호로 감소했다.
주식시장의 하루 평균 거래액은 2010년 7조4000억 원에서 2011년 9조1000억 원으로 규모가 커졌지만 지난해에는 6조9000억 원으로 급감했다.
가계부채(가계신용)는 올해 1분기 기준으로 962조원을 기록해 사상 첫 1000조 원 돌파를 앞두고 있다.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06년 112%에서 지난해 136%로 급증했다. 김 연구원은 "공기업의 부채는 증가하고 사회보장비 지출 규모는 확대되고 있으며 고령화 사회 진입 등으로 인해 재정 건전성이 위협받고 있다"며 "금융, 통화 등 경기부양을 위한 경제 정책의 효율성을 최대한 높이고 경제 전반의 생산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