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A-그래핀 합성물질로 연료전지 촉매 향상
입력
수정
지면A19
김광수 포스텍 교수팀
![](https://img.hankyung.com/photo/201308/AA.7741430.1.jpg)
김 교수는 정부가 선정한 국가과학자 중 한 명이다.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의 화학 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고효율·친환경 동력원이다. 하지만 산소환원 반응에 사용되는 백금 촉매가 비싸다는 것이 문제로 꼽혀왔다. 또 백금 촉매의 활성도를 높이려면 미세한 백금 입자로 표면적을 늘려야 하는데, 극미세 나노 입자를 균일하게 분산시켜 입자들이 서로 뭉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연구자들의 숙제였다.
연구팀은 DNA와 그래핀으로 만든 물질에 1나노미터(㎚) 크기의 미세한 백금 입자를 균일하게 분산시킨 복합체 물질을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백금 이온이 DNA 사슬의 인산뼈대 염기들과 강하게 결합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
김 교수는 “백금 나노 입자가 하이브리드 물질에 넓게 퍼져 촉매 반응이 일어나는 표면적이 넓어졌고 이로 인해 촉매 성능도 3배 이상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연구성과는 해외 저널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실렸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