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재가동 앞둔 개성공단
입력
수정
지면A38
김정은 중소기업부 기자 likesmile@hankyung.com“처음부터 다시 출발하는 기분입니다. 설렘 반, 걱정 반으로 밤에 잠이 오지 않습니다.”(개성공단 입주 섬유·봉제업체 대표)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재가동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한재권 개성공단 정상화 촉구 비상대책위원장은 “입주기업들이 설비보수를 어느 정도 끝냈다”며 “정부 조치만 뒤따르면 당장 생산을 재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섬유·봉제업체들은 기계·장비 피해가 별로 없고 기계·전자업종은 설비보다 주문이 끊긴 것이 문제”라며 “업체들이 주문을 다시 받아 생산하려면 남북 당국이 생산 날짜를 빨리 확정해줘야 한다”고 했다. 기업인들은 지난달 22일부터 매일 공단에 들어가 북측 근로자들과 함께 기계 및 장비를 보수했다. 애초 긴 장마에 장기간 방치된 설비를 정비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지만, 남북의 손발이 착착 맞아떨어져 예상보다 빨리 끝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의 표정이 밝지만은 않다. 일단 공장 설비는 다시 돌아가겠지만, 주문량 등이 예전 수준을 되찾을 수 있을지 미지수다. 투자 보호에 대한 재발방지책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위험을 감수할 바이어가 얼마나 될지 모른다는 회의적인 목소리도 나온다. 옥성석 나인모드 사장은 “끊어진 바이어들이 얼마나 돌아올 수 있을지 모르겠다”며 “정상화 이후가 더 걱정”이라고 말했다.
보상 문제도 그렇다. 공단 정상화에 대해서만 남북이 원론적으로 합의했을 뿐 가동 중단기간 동안 입은 피해에 대한 처리와 세부내용 논의는 개성공단 남북공동위원회로 넘겨졌다. 우리 기업들의 피해보상 문제에 대한 협의와 근로자들의 신변 및 투자자산 보호, 통행·통신·통관 등 구체적인 문제에 대한 협의는 향후 넘어야 할 산이다. 이런 과정에서 북측이 ‘몽니’를 부리지 않으리라는 보장도 없다. 가동중단 사태가 또 발생할 경우에 대한 대비책도 사실상 없다. ‘제도적인 장치를 확실히 마련한 뒤 공단을 재가동시켜야 했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이유다.새 출발을 앞둔 입주기업들은 이래저래 불안해하고 있다. “‘코리아 리스크’를 온몸으로 감수한 개성공단 기업인들이 앞으로는 마음놓고 기업활동을 할 수 있게 해달라”(강창범 오오앤육육닷컴 사장)는 기업인의 말에 귀 기울일 때다.
김정은 중소기업부 기자 likesmi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