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내년 소비세 인상 전망…증세 부작용시 추가 양적완화
입력
수정
지면A9
고비 맞은 9월 글로벌 경제
엔화 달러당 100엔대 재진입

6일 뉴욕 외환시장에서 엔화 가치는 장중 한때 달러당 100.22엔까지 하락했다. 엔·달러 환율이 100엔대에 진입한 것은 지난 7월25일 이후 한 달 반 만이다.

미국이 양적완화 정책을 축소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반면 일본은 당분간 금융완화를 지속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힘으로써 소비세 증세로 일본 경기회복세가 둔화될 것이라는 시장의 우려를 서둘러 차단한 것이다. 미국의 거시경제지표가 호전된 것도 엔화 매도세를 촉발했다. 미국 공급관리자협회(ISM)의 지난달 비제조업 체감경기 지수가 시장 예상과 달리 개선된데다 주간 실업보험 청구 건수도 감소함에 따라 미국 경기에 대한 낙관론이 확산됐다. 이로 인해 미국 장기금리가 연 3%대에 다가서면서 일본과의 금리 격차가 커진 것도 엔화 대신 달러화를 선택하는 투자자들이 늘어난 배경이다.
해외 금융회사들도 엔화 가치가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치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최근 엔·달러 환율 전망치를 달러당 103엔에서 105엔으로 올렸고, RBS는 달러당 95엔에서 105엔으로 대폭 상향 조정했다.
도쿄=안재석 특파원 yag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