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재 칼럼] 서머스, 그가 돌아온다
입력
수정
지면A38
97년 외환위기 당시 美정책 지휘…거친 구조조정· 고금리 처방 강요벤 버냉키 Fed 의장은 유대인이다. 앨런 그린스펀도 폴 볼커도 유대인이다. 버냉키 후임자도 유대인이 될 것이다. 오바마는 이미 로렌스 서머스를 사실상 후임자로 내세우고 있다. 공식 지명절차만 남았다. 서머스가 아니라면 현재 Fed 부의장인 재닛 옐런이다. 그녀도 유대인이다. 처음에는 옐런이 여론상 우세였다. 파이낸셜타임스와 월스트리트저널 등 대부분 언론매체는 옐런 지지 칼럼으로 도배질되다시피 했다. 오바마가 후보들을 공평하게 보도해 달라면서 분위기가 돌아섰다.
출구전략 땐 强 달러 위기 재연
정규재 논설위원실장 jkj@hankyung.com
서머스의 아버지는 로버트, 어머니는 애니타다. 양친이 펜실베이니아대에서 경제학을 가르쳤다. ‘경제학’의 저자 폴 새뮤얼슨은 큰아버지다. 그런데 성(姓)이 다르다. 형제가 싸움 끝에 아버지가 서머스로 성(姓)을 바꾸었다. 서머스의 외삼촌은 케네스 애로다. 민주적 표결절차를 거치더라도 대중의 진정한 의사를 정확하게 드러낼 수 없다는 불확정성의 원리를 발견한 공로로 노벨상을 수상한 바로 그 사람이다. 민주주의를 비판하되 수학공식으로 비판하면 노벨상을 타고 독설로 비판하면 소크라테스처럼 독배를 마시게 되는 모양이다. 옐런도 경제학자다. 남편인 조지 애컬로프는 정보비대칭이 만들어 내는 일련의 의사결정 과정을 연구한 끝에 역선택이라는 개념을 체계화한 공로로 역시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레몬시장’이라는 제목의 그 유명한 논문을 썼다. 중고차 시장이 어쩌고를 얘기할 때 우리는 Fed 차기의장 후보인 옐런의 남편에게 약간의 빚을 지게 된다. 서머스에 대한 비판의 대부분은 그의 거만한 성격에 모아진다. 16세에 MIT에 갔고 28세에 하버드대 종신교수가 됐으니 거만한 분위기가 풍기기도 했을 것이다. 노벨상이 줄줄이 걸린 집안 배경도 한몫했을 것이다. 금융규제 완화주의자요, 2008년 금융위기에 책임이 있다는 것이 미국 내 좌익들의 비판이지만 틀린 주장도 있다. 그가 매파인 것은 분명하다. 원칙주의자요, 놀라울 정도로 총기가 있기 때문에(김중수 한국은행 총재의 표현) 때로는 상대를 무시하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레이건 대통령의 경제자문을 지냈지만 본격적으로 정부에 몸담은 것은 평생의 보스라고 할 만한 로버트 루빈을 따라 미국 재무부에 들어갔을 때부터다. 그는 루빈 밑에서 부장관을 지냈고 그의 후임자가 됐다.
바로 이 지점부터 우리는 신경을 바짝 곤두세워야 한다. 그는 강한 달러주의자요, 미국주의자요, 미국의 경쟁력을 위해서는 어떤 정책이든지 가차 없이 밀어붙이는 결단력을 아끼지 않는 사람이다. 그가 부장관을 지내면서 루빈과 함께 세계를 요리하던 시기는 한국이 외환위기에 밀려들어가 가혹한 구조조정을 강요받던 바로 그 시기였다. 동아시아를 돌아 러시아 브라질까지 지구촌을 쑥대밭으로 만들었던 달러부족 위기는 1995년초부터 루빈과 서머스 팀이 미국 금리를 잇달아 올려가면서 스트롱 달러를 만들어 낸 결과였다. 실제로 서머스는 위기에 빠진 한국에 대해 신속한 금리 인상과 공격적인 자본자유화를 거칠게 요구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이런 위기 대응책은 지금도 폴 크루그먼이나 스티글리츠 같은 학자들로부터 강한 비판을 받고 있다. 물론 찬성론도 비등하다. 외환위기 당시 혹독한 구조조정 방안을 제시했던 사람이 바로 서머스다. IMF와 협상 당시 서울 힐튼호텔을 점령했던 것은 그의 부하들이었다. 그는 거침없는 브리핑으로 정평이 나 있다. 말 잘하는 오바마도 서머스의 브리핑에 눈을 떼지 못했다고 할 정도다.
그가 돌아온다. 이번에도 주제는 강한 달러다. 그는 벌써부터 양적완화가 경제회복에는 그다지 도움이 된 것이 없다고 목청을 돋우고 있다. 싸구려 달러 반대가 그의 철학이다. 당연히 본격적인 출구전략이 필요하다. 돈을 걷어 들이는 출구전략의 결론은 역시 강한 달러요, 달러 부족사태다. 서머스와 함께 강한 달러가 돌아오고 개도국 외환위기도 돌아오고 있다. 월가에서 그를 반대하는 것은 당장의 금리상승 때문이다. 어떻든 정신을 바짝 차릴 때다. 그는 교토의정서나 환경 문제에는 별 관심이 없다. 미국은 로마 제국을 능가하는 가장 강력한 제국이라는 말도 했다. 지금 하드보일드가 돌아오고 있다.
정규재 논설위원실장 jkj@hankyung.com